목차
1. 원잡극의 특징
2. 원잡극의 형식
3. 원잡극의 작가와 작품
(1) 몽고시대
(2) 일통시대
(3) 지정시대
4. 전기잡극과 후기잡극 비교
5. 작가소개
★원곡 4대가
6. 대표 작품
*두아원(竇娥寃)
*오동우(梧桐雨)
*한궁추(漢宮秋)
*천녀이혼(倩女離魂)
<보충설명>
7. 원대 잡극 극본 보는 법
-참고자료:
2. 원잡극의 형식
3. 원잡극의 작가와 작품
(1) 몽고시대
(2) 일통시대
(3) 지정시대
4. 전기잡극과 후기잡극 비교
5. 작가소개
★원곡 4대가
6. 대표 작품
*두아원(竇娥寃)
*오동우(梧桐雨)
*한궁추(漢宮秋)
*천녀이혼(倩女離魂)
<보충설명>
7. 원대 잡극 극본 보는 법
-참고자료:
본문내용
는 태어나기 이전부터 약혼을 한 사이이다. 왕문거는 과거를 보기위해 상경하던 중 장씨집에 머물게 되고 두사람은 서로를 보고 흠모하게 됨. 천낭은 혼인이 깨질까봐 문거와 함께 가게 되는데 사실은 천낭의 영혼이었음. 천낭 문거가 떠난 이후 사경을 해매고 있다가 문거가 이미 처를 얻었다는 소식에 한이 쌓여 황천길로 향하게 됨. 천낭은 문거와 그의 부인이 같이 있는 것을 보고 놀라게 되지만 두 천낭이 만난이후 갑자기 둘은 하나가 되어 천낭의 병이 완쾌됨.
③ 의의 : 대담한 낭만주의적인 이야기 구조를 가지고 있음. 육체적으로 고통 받는 봉건적인 예교의 속박을 그려내어 부녀자들의 당시 사회 속의 모순과 갈등이 그대로 드러나게 됨. 형식이 엄격하게 완비되어 있고 노래 가사가 매우 화려하여 아름다움 작품으로 꼽힘.
<보충설명>
7. 원대 잡극 극본 보는 법
(1) 인물이 등장하면서 시로 시작한다.
일반적으로 잡극 인물이 무대에 나오면서 먼저 4句나 2句로 된 시를 읊게 된다. 이것에 이어서 독백 한 단락이 있게 되는데 여기서는 그 인물의 살아온 경력이나 앞으로 어떤 행동을 할 것인지 등에 대한 것들을 서술하게 된다. 이것들을 각각 정장시(定場時)와 정장백(定場白)이라고 하고 이야기 전개에 대한 설명, 관중들의 이목집중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
(2) 대사와 노래부분이 있다.
노래를 부르는 부분은‘唱’이라고 표시하고 대사부분은 ‘云’이라고 표시된다. 이때 노래는 한꺼번에 불리어 질 수도 있고, 노래 부르는 사이에 대사 있을 수도 있다.
(3) 지문이 있다.
‘做 ~ 科’‘~라는 행동으로 하기’라는 지문에 해당되는 것이다.
‘上’은 무대로 나오는 것을 말하고,‘下 ’는 무대 아래로 내려가는 것을 말한다.
(4) 각색명과 극 중 인물명이 따로 있다.
각색이라는 것은 원대잡극 가운데 유형적 인물이고, 극 중 인물은 그러한 유형적 인물에 부합하는 어떤 틀 속에 갇히게 된다. 연기자는 유형적 인물의 특성을 가지는 동시에 개성적 인물의 특징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것은 현대 극예술과 달리 통속적, 재미, 오락성 추구하기 위함이다.
(5)제목 정명이 있다.
원잡극의 매 본 결말에 사용하는 두 구 혹은 네 구의 대련을 이르는 시구는 일종의 선전문구로 전극의 내용을 총괄하게 된다. 끝의 1구는 늘 해당극의 전체 명칭이 된다.
-참고자료:
한국방송대중문과자료실
원잡극선 (김학주 편역)
원잡극 선주 (강계철 김영미 공저)
③ 의의 : 대담한 낭만주의적인 이야기 구조를 가지고 있음. 육체적으로 고통 받는 봉건적인 예교의 속박을 그려내어 부녀자들의 당시 사회 속의 모순과 갈등이 그대로 드러나게 됨. 형식이 엄격하게 완비되어 있고 노래 가사가 매우 화려하여 아름다움 작품으로 꼽힘.
<보충설명>
7. 원대 잡극 극본 보는 법
(1) 인물이 등장하면서 시로 시작한다.
일반적으로 잡극 인물이 무대에 나오면서 먼저 4句나 2句로 된 시를 읊게 된다. 이것에 이어서 독백 한 단락이 있게 되는데 여기서는 그 인물의 살아온 경력이나 앞으로 어떤 행동을 할 것인지 등에 대한 것들을 서술하게 된다. 이것들을 각각 정장시(定場時)와 정장백(定場白)이라고 하고 이야기 전개에 대한 설명, 관중들의 이목집중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
(2) 대사와 노래부분이 있다.
노래를 부르는 부분은‘唱’이라고 표시하고 대사부분은 ‘云’이라고 표시된다. 이때 노래는 한꺼번에 불리어 질 수도 있고, 노래 부르는 사이에 대사 있을 수도 있다.
(3) 지문이 있다.
‘做 ~ 科’‘~라는 행동으로 하기’라는 지문에 해당되는 것이다.
‘上’은 무대로 나오는 것을 말하고,‘下 ’는 무대 아래로 내려가는 것을 말한다.
(4) 각색명과 극 중 인물명이 따로 있다.
각색이라는 것은 원대잡극 가운데 유형적 인물이고, 극 중 인물은 그러한 유형적 인물에 부합하는 어떤 틀 속에 갇히게 된다. 연기자는 유형적 인물의 특성을 가지는 동시에 개성적 인물의 특징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것은 현대 극예술과 달리 통속적, 재미, 오락성 추구하기 위함이다.
(5)제목 정명이 있다.
원잡극의 매 본 결말에 사용하는 두 구 혹은 네 구의 대련을 이르는 시구는 일종의 선전문구로 전극의 내용을 총괄하게 된다. 끝의 1구는 늘 해당극의 전체 명칭이 된다.
-참고자료:
한국방송대중문과자료실
원잡극선 (김학주 편역)
원잡극 선주 (강계철 김영미 공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