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라멘 소개
1. 라면의 정의
2. 라면의 유래
3. 라면의 역사
4. 한국 라면의 특징
5. 일본 라멘 VS 한국 라면
Ⅱ. 라멘의 종류
1. 일본의 3대 라면
2. 양념에 따른 분류
3. 국물 재료에 따른 분류
4. 지역별
Ⅲ. 라멘 만드는 법
1. 일본라멘 국물만드는 방법
2. 일본라멘 반죽만드는 방법
3. 일본라멘 조리법
Ⅳ. 일본라멘 탐방 (맛집 소개)
1. 와가마마
2. 라멘81번옥
Ⅴ. 일본 여행 가면 이것만은...
1. 덴뿌라(てんぷら)
2. 우동(うどん)
3. 사시미(刺身)
4. 오니기리(お握り)
5. 소바(そば)
6. 벤토
Ⅵ. Episode
<< 부록>> ■일본라멘에 대한 문화적 차원에서의 접근
1. 라면의 정의
2. 라면의 유래
3. 라면의 역사
4. 한국 라면의 특징
5. 일본 라멘 VS 한국 라면
Ⅱ. 라멘의 종류
1. 일본의 3대 라면
2. 양념에 따른 분류
3. 국물 재료에 따른 분류
4. 지역별
Ⅲ. 라멘 만드는 법
1. 일본라멘 국물만드는 방법
2. 일본라멘 반죽만드는 방법
3. 일본라멘 조리법
Ⅳ. 일본라멘 탐방 (맛집 소개)
1. 와가마마
2. 라멘81번옥
Ⅴ. 일본 여행 가면 이것만은...
1. 덴뿌라(てんぷら)
2. 우동(うどん)
3. 사시미(刺身)
4. 오니기리(お握り)
5. 소바(そば)
6. 벤토
Ⅵ. Episode
<< 부록>> ■일본라멘에 대한 문화적 차원에서의 접근
본문내용
ode
1. 일본라멘에 대해 조사하면서 라면의 종류에 놀랐고, 그들의 다양성에 놀랐다. 한가지에만 머물지 않고 끊임없이 개발하고 노력하는 모습이 일본의 국민성을 말해주는 것 같았다. 평범한 음식인 라면에서 그들만의 맛을 이끌어내는 일본의 장인정신은 본받을만하다고 생각했고 일본의 라멘이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출 날이 멀지 않은 것 같다. 맛집탐방을 통해 이런 일본의 라멘에 대해 실제로 체험해볼 수 있어서 좋았다. 인스턴트면이 아닌 생면으로 만든 라멘을 먹어보니 맛있었고, 국물과 잘 어울린다는 느낌을 받았다. 일본라멘을 조사하면서 다른 나라의 음식과 문화에 대해 알아두는 것이 굉장히 의미 있는 일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나중에 기회가 된다면 세계 여러나라의 음식과 문화에 대해서 체험해보고 조사해봐야겠다.
2. 일본 라멘을 조사하면서 일본여행을 갔었던 때가 새록새록 떠올랐다. ‘그 때 그 곳에서 먹었던 라면을 맛보는 구나’하는 설레임도 잠시 가져 보았다. 맛은 그 때의 느낌을 살리기에 충분했다. 종류 또한 조사하고 가니 아는 만큼 보이는 것 같았다. 아직 일본 라멘은 우리나라 라면처럼 봉지라면으로 대중화 되지 않은 것 같다. 봉지 미소라멘을 팔기는 하지만 가격 또한 비싸고 종류도 많지 않다. 그런 면에서 보면 우리나라 라면은 대중화를 시키기에 충분 요소를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 라면이 세계에 널리 대중화 되는 그 날을 위해 꾸준한 노력이 필요 할 것이다.
3. 이번 세계의 음식문화의 발표수업을 위해 일본의 라멘에 대해 조사하는 과정 중 일본의 음식을 이름만 알고 들어만 봤지 미처 내가 깊게 알지 못했던 일본의 음식문화, 특히 라멘에 대한 지식을 얻게 된 것 같다.
인터넷으로 일본의 역사와 그 나라의 음식은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고 요리법을 찾아보고, 그러한 지식을 바탕으로 친구들과 시간을 내어 일본 라멘의 유명한 맛 집을 찾아서 일본 음식문화를 경험해 본 것은 나에게 좋은 경험이 되었다.
처음에는 일본라멘이 한국의 입맛에는 안 맞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었는데 직접 가서 라멘을 먹어보니……. 나의 생각과는 다르게 맛있었다.
특히 우리나라의 라면은 모두 기름에 튀겨서 만든 인스턴트 면과 인공 조미료를 쓰는 반면 일본의 라멘은 인스턴트가 아니라 수제로 해서 그런지 쫄깃쫄깃 한 것이 한국의 라면과 다르게 느껴졌고 국물도 우리가 국을 끓이듯이 직접 재료를 넣어서 우려내서 그런지 각 라면마다 국물의 맛이 달라서 개운한 맛이 느껴지는 게 정말 맛있게 먹었던 것 같다. 가격이 한국의 라면에 비해서 비싼 편이지만 맛이 조금은 더 고급스러움이 느껴졌다고나 할까?
그렇다고 한국의 라면이 일본의 라멘에 비해 나쁘다는 말은 아니다.
일부 사람들은 우리나라 라면은 좋게 보지 않고 일본의 라멘만을 좋게 보는데 이러한 생각은 잘못되었다고 본다. 일본의 라멘이 그 나름대로의 좋은 특징이 있는 반면 한국의 인스턴트 라면은 간편하게 끓여먹을 수 있고 휴대하고 다니기 쉬운 장점 등이 있듯 우리나라의 라면대로 좋은 특징을 지녔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예로 신라면이 중국에서는 불티나게 잘 팔린다고 하는데 이러한 점은 우리나라 라면의 장점이 아닐까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이번 발표수업을 준비하면서 일본의 문화에 대해 알 수 있었던 좋은 공부가 되었고 이렇게 얻게 된 지식을 바탕으로 다음번 일본에 나가게 되면 그 나라의 음식문화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보고 싶다.
<< 부록>>
일본라멘에 대한 문화적 차원에서의 접근
:일본문화의 집단적 차별성과 다양성을 잘 볼 수 있는 음식의 하나가 바로 라면이다.
도쿄에서 전철로 40분 거리인 신요코하마. 2002년 월드컵 경기장이 조성된 이곳 중심가의 빌딩 숲 속에 특이한 건물 하나가 있는데 바로 라면박물관이다.
3백엔짜리 입장권을 사서 현관을 들어서면 전국의 특징있는 라면을 소개하는 대형 라면지도가 우선 눈에 띈다. 그 옆으로 각 라면의 계보를 그린 게시판과 유명 라면집에서 대대로 내려오는 라면 사발, 국자, 젓가락 등 주방용품이 진열돼 있다.
일본의 라면가게에서는 인스턴트 라면을 끓여내지 않고 손으로 면을 뽑아 만든 생라면을 취급한다는 것이다. 이 생라면의 종류는 크게 계통으로 볼 때 19가지이다. 하지만 세밀하게 들여다보면 그 종류는 "알 수 없다"가 정답이다.
라면박물관 홍보담당자는 "국물 만드는 재료부터 볼까요? 간장, 된장부터 돼지뼈, 닭고기, 참치, 멸치, 조개 등 지역마다 다르죠. 여기다 면의 굵기, 꼬인 정도, 음식 위에 얹는 고명 종류까지 차이가 나니 지역과 가게마다 맛이 천차만별일 수밖에 없지요"라고 말했다.
라면의 종류에 대해서는 "꼭 집을 수는 없으나 수천 종은 될 것"이라고 한다. 그는 "전통있는 라면집은 그 맛을 유지하기 위해, 새로 창업하는 가게는 자신들만의 라면 맛을 내기 위해 심혈을 기울인다"고 덧붙인다.
실제 구마모토의 고무라사키라면은 돼지뼈와 닭고기 껍질로 국물을 만들고 목이버섯과 콩나물 차슈 등을 고명으로 올린다. 교토의 신푸쿠사이칸라면은 진한 간장과 돼지고기 육즙으로 국물을 만들고 굵은 면발이 특징이다.
구마모토 고무라사키 라면 제조법을 전수받아 이 라면박물관에서 라면을 만들고 있는 카토 다다오미씨(26)는 "돼지뼈를 우려 국물을 내지만 느끼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이 라면 맛의 비결"이라고 말했다. 그는 가장 어려운 것은 "지역마다 물맛이 달라 그 미네랄 성분 차이 때문에 제 맛을 내지 못하는 것"이란다.
인스턴트 라면도 마찬가지다. 도쿄 아사쿠사바시에 있는 일본즉석식품공업협회의 후쿠시마 토시미 전무(57)는 "지난해 일본에서 나온 인스턴트라면 종류는 모두 8백여가지"라며 "지난해 제품 중 현재 남은 것은 4백여 가지인데 올해 또 5백여가지가 만들어진다"고 말했다.
일본에서는 많은 것이 혼재한다. 그리고 서로 다른데 대해 인정한다. 한 마디로 다양성의 문화다. 그리고 그 뿌리는 자기가 몸담고 있는 집단이나 지역에 대한 강한 귀속의식과 유대감에서 나온다.
문화 전문가들은 일본의 그 점이 무서운 힘이라고 밝힌다. 자신의 것을 중시하고 서로의 차별성을 존중하는 그 토대에서 많은 것들이 새롭게 만들어지는 것이다.
1. 일본라멘에 대해 조사하면서 라면의 종류에 놀랐고, 그들의 다양성에 놀랐다. 한가지에만 머물지 않고 끊임없이 개발하고 노력하는 모습이 일본의 국민성을 말해주는 것 같았다. 평범한 음식인 라면에서 그들만의 맛을 이끌어내는 일본의 장인정신은 본받을만하다고 생각했고 일본의 라멘이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출 날이 멀지 않은 것 같다. 맛집탐방을 통해 이런 일본의 라멘에 대해 실제로 체험해볼 수 있어서 좋았다. 인스턴트면이 아닌 생면으로 만든 라멘을 먹어보니 맛있었고, 국물과 잘 어울린다는 느낌을 받았다. 일본라멘을 조사하면서 다른 나라의 음식과 문화에 대해 알아두는 것이 굉장히 의미 있는 일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나중에 기회가 된다면 세계 여러나라의 음식과 문화에 대해서 체험해보고 조사해봐야겠다.
2. 일본 라멘을 조사하면서 일본여행을 갔었던 때가 새록새록 떠올랐다. ‘그 때 그 곳에서 먹었던 라면을 맛보는 구나’하는 설레임도 잠시 가져 보았다. 맛은 그 때의 느낌을 살리기에 충분했다. 종류 또한 조사하고 가니 아는 만큼 보이는 것 같았다. 아직 일본 라멘은 우리나라 라면처럼 봉지라면으로 대중화 되지 않은 것 같다. 봉지 미소라멘을 팔기는 하지만 가격 또한 비싸고 종류도 많지 않다. 그런 면에서 보면 우리나라 라면은 대중화를 시키기에 충분 요소를 가지고 있다. 우리나라 라면이 세계에 널리 대중화 되는 그 날을 위해 꾸준한 노력이 필요 할 것이다.
3. 이번 세계의 음식문화의 발표수업을 위해 일본의 라멘에 대해 조사하는 과정 중 일본의 음식을 이름만 알고 들어만 봤지 미처 내가 깊게 알지 못했던 일본의 음식문화, 특히 라멘에 대한 지식을 얻게 된 것 같다.
인터넷으로 일본의 역사와 그 나라의 음식은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고 요리법을 찾아보고, 그러한 지식을 바탕으로 친구들과 시간을 내어 일본 라멘의 유명한 맛 집을 찾아서 일본 음식문화를 경험해 본 것은 나에게 좋은 경험이 되었다.
처음에는 일본라멘이 한국의 입맛에는 안 맞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었는데 직접 가서 라멘을 먹어보니……. 나의 생각과는 다르게 맛있었다.
특히 우리나라의 라면은 모두 기름에 튀겨서 만든 인스턴트 면과 인공 조미료를 쓰는 반면 일본의 라멘은 인스턴트가 아니라 수제로 해서 그런지 쫄깃쫄깃 한 것이 한국의 라면과 다르게 느껴졌고 국물도 우리가 국을 끓이듯이 직접 재료를 넣어서 우려내서 그런지 각 라면마다 국물의 맛이 달라서 개운한 맛이 느껴지는 게 정말 맛있게 먹었던 것 같다. 가격이 한국의 라면에 비해서 비싼 편이지만 맛이 조금은 더 고급스러움이 느껴졌다고나 할까?
그렇다고 한국의 라면이 일본의 라멘에 비해 나쁘다는 말은 아니다.
일부 사람들은 우리나라 라면은 좋게 보지 않고 일본의 라멘만을 좋게 보는데 이러한 생각은 잘못되었다고 본다. 일본의 라멘이 그 나름대로의 좋은 특징이 있는 반면 한국의 인스턴트 라면은 간편하게 끓여먹을 수 있고 휴대하고 다니기 쉬운 장점 등이 있듯 우리나라의 라면대로 좋은 특징을 지녔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예로 신라면이 중국에서는 불티나게 잘 팔린다고 하는데 이러한 점은 우리나라 라면의 장점이 아닐까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이번 발표수업을 준비하면서 일본의 문화에 대해 알 수 있었던 좋은 공부가 되었고 이렇게 얻게 된 지식을 바탕으로 다음번 일본에 나가게 되면 그 나라의 음식문화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보고 싶다.
<< 부록>>
일본라멘에 대한 문화적 차원에서의 접근
:일본문화의 집단적 차별성과 다양성을 잘 볼 수 있는 음식의 하나가 바로 라면이다.
도쿄에서 전철로 40분 거리인 신요코하마. 2002년 월드컵 경기장이 조성된 이곳 중심가의 빌딩 숲 속에 특이한 건물 하나가 있는데 바로 라면박물관이다.
3백엔짜리 입장권을 사서 현관을 들어서면 전국의 특징있는 라면을 소개하는 대형 라면지도가 우선 눈에 띈다. 그 옆으로 각 라면의 계보를 그린 게시판과 유명 라면집에서 대대로 내려오는 라면 사발, 국자, 젓가락 등 주방용품이 진열돼 있다.
일본의 라면가게에서는 인스턴트 라면을 끓여내지 않고 손으로 면을 뽑아 만든 생라면을 취급한다는 것이다. 이 생라면의 종류는 크게 계통으로 볼 때 19가지이다. 하지만 세밀하게 들여다보면 그 종류는 "알 수 없다"가 정답이다.
라면박물관 홍보담당자는 "국물 만드는 재료부터 볼까요? 간장, 된장부터 돼지뼈, 닭고기, 참치, 멸치, 조개 등 지역마다 다르죠. 여기다 면의 굵기, 꼬인 정도, 음식 위에 얹는 고명 종류까지 차이가 나니 지역과 가게마다 맛이 천차만별일 수밖에 없지요"라고 말했다.
라면의 종류에 대해서는 "꼭 집을 수는 없으나 수천 종은 될 것"이라고 한다. 그는 "전통있는 라면집은 그 맛을 유지하기 위해, 새로 창업하는 가게는 자신들만의 라면 맛을 내기 위해 심혈을 기울인다"고 덧붙인다.
실제 구마모토의 고무라사키라면은 돼지뼈와 닭고기 껍질로 국물을 만들고 목이버섯과 콩나물 차슈 등을 고명으로 올린다. 교토의 신푸쿠사이칸라면은 진한 간장과 돼지고기 육즙으로 국물을 만들고 굵은 면발이 특징이다.
구마모토 고무라사키 라면 제조법을 전수받아 이 라면박물관에서 라면을 만들고 있는 카토 다다오미씨(26)는 "돼지뼈를 우려 국물을 내지만 느끼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이 라면 맛의 비결"이라고 말했다. 그는 가장 어려운 것은 "지역마다 물맛이 달라 그 미네랄 성분 차이 때문에 제 맛을 내지 못하는 것"이란다.
인스턴트 라면도 마찬가지다. 도쿄 아사쿠사바시에 있는 일본즉석식품공업협회의 후쿠시마 토시미 전무(57)는 "지난해 일본에서 나온 인스턴트라면 종류는 모두 8백여가지"라며 "지난해 제품 중 현재 남은 것은 4백여 가지인데 올해 또 5백여가지가 만들어진다"고 말했다.
일본에서는 많은 것이 혼재한다. 그리고 서로 다른데 대해 인정한다. 한 마디로 다양성의 문화다. 그리고 그 뿌리는 자기가 몸담고 있는 집단이나 지역에 대한 강한 귀속의식과 유대감에서 나온다.
문화 전문가들은 일본의 그 점이 무서운 힘이라고 밝힌다. 자신의 것을 중시하고 서로의 차별성을 존중하는 그 토대에서 많은 것들이 새롭게 만들어지는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민족주의와 페미니즘에 관한 한국여성학의 논의 : 일본군위안부 문제....
피임에 관한 모든 것 - 정의, 역사, 종류 총정리
(유비쿼터스) 유비쿼터스의 정의와 적용사례, 우리생활의 변화, 문제점 및 나아갈 방향
종업원지주제도(우리사주제도)의 정의, 목적, 운영형태와 종업원지주조합(우리사주조합)의 결...
NIE(신문활용교육, 신문활용수업) 정의와 의의, NIE(신문활용교육, 신문활용수업) 수업설계와...
BM특허(비즈니스모델특허)의 정의와 현황, BM특허(비즈니스모델특허)의 구성요소와 심사기준,...
노동자파견(근로자파견)의 정의, 노동자파견(근로자파견)의 제한, 노동자파견(근로자파견)의 ...
정보보증공학론,보안보증공학론(CC 인증 소개)
해양과 환경 발표 - 간척사업 소개, 간척사업을 둘러싼 논쟁들, 새만금 사업에 대한 궁금증
구석기와 신석기 - 석기시대의 정의와 쟁점들에 관하여
플로어볼 floorball (플로어볼 정의, 경기방식, 복장, 경기규칙).ppt
아시아Asia의 정책학 역사(일본과 중국의 정책학역사)
[관광산업][관광업]관광산업(관광업)의 정의, 관광산업(관광업)의 환경, 관광산업(관광업)의 ...
한국지리여행 2018년 교재나 강의에서 소개하고 있는 하천 또는 해안 지리여행지 중 방문한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