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과 지방 中 지방에 대해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비만과 지방 中 지방에 대해서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비만
✔비만의 정의
✔비만의 분류
✔비만의 원인은 무엇인가
2. 지방
✔지방의 특성과 종류
✔지방산의 종류
✔지질의 소화와 체내이용
✔인지질
✔지방의 소화와 건강
✔콜레스테롤과 건강
✔지방의 식품섭취현황
3.Reference

본문내용

높고 HDL은 낮다. 그런데 LDL은 혈중 콜레스테롤의 2/3를 함유하고 있어서 LDL의 증가는 콜레스테롤 농도의 증가를 의미한다. 콜레스테롤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동맥경화증의 발병률도 증가한다는 사실은 역학적인 연구뿐만 아니라 동물과 인간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도 밝혀지고 잇다. 특히 유전적으로 콜레스테롤이 높은 가계에서 동맥경화증이 유발된다는 것은 확실해지고 있다. 혈중 콜레스테롤의 증가는 동맥경화와 심장병, 뇌혈관계질환의 발병위험을 높인다.
표1. 고콜레스테롤의 혈증의 치료지침
수준
총콜레스테롤
LDL
HDL
치료지침 및 조치
바람직함
<200(170)
<130(110)
>40
2년 내 재검 필요
경계선
200~239
(170~200)
130~150
(110~130)
35~40
위험인자 2개나 병력 있으면 치료 필요, 식이요법 우선
위험수준
>240
>160(130)
<35
식이요법 및 약물 치료
그렇다면 여기에서 혈중 콜레스테롤을 높히는 요소, 즉 LDL은 높이고 HDL을 낮추는 요소가 바로 식이 섭취에 의한 콜레스테롤인가 하는 것이 문제가 된다.
일부에서는 마치 콜레스테롤을 먹으면 곧 동맥 경화증이나 관상 심장병이 발생하는 것처럼 이야기하며, 콜레스테롤은 인체에 해만 주는 물질로 치부한다.그리하여 달걀이나 돼지, 쇠기름 등이 콜레스테롤의 대명사로 대두되게 되었다. 그러나 콜레스테롤은 인체에 필수적인 성분으로서 세포막, 호르몬, 신경 세포의 미엘린(myelin)을 구성하는 기본 물질이며, 뇌와 담즙산의 성분이기도 하다.
즉, 성장기 아동에게는 꼭 필요한 영양성분이다.혈중 콜레스테롤은 식이 에서 온 것과 체내에서 합성된 것의 두 가지가 있다. 콜레스테롤을 식품으로 다량 섭취하면 체내에서 합성되는 양은 줄어들고, 반대로 식품 섭취가 감소되면 합성량은 증가하게 된다.
그리하여 체내에는 일정한 콜레스테롤 수준을 유지하도록 조정된다. 식품의 콜레스테롤은 대부분 육류 식품에 함유되어 있다. 쇠고기, 돼지고기, 달걀 등에 많으며, 그 외에도 새우나 굴 등에도 다량 함유되어 있다. 여러 실험에서 식이의 콜레스테롤은 혈중 콜레스테롤을 약간 증가시키거나 또는 영향을 거의 주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건강인의 조절 능력을 강조하고 있다.즉, 혈중 콜레스테롤은 생체 내 합성에 의한 것이 많으며 알부민이 식이 에서 유래된다. 간에서 1일 1~2g정도로 콜레스테롤을 합성한다.그러나 유전적 취약성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계속 콜레스테롤이 다량 함유된 식사를 하거나 다른 위험 요소가 개재될 때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가 증가될 수 있다. 위험 요소들로는 중년의 남성, 스트레스, 고지혈증, 비만증, 고혈압, 흡연과 당뇨병 등을 들 수 있다. 유전적 취약성을 가진 사람은 LDL의 대사 장애를 일으켜서 혈중 콜레스테롤이 증가된다. 건강한 사람은 콜레스테롤에 대하여 그렇게 염려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유전인자를 가진 사람은 앞서 지적한 위험요소를 피해야 한다. 전체 인구의 약 85%는 콜레스테롤의 섭취가 혈중 농도를 크게 상승시키지 않는다. 약 15%의 사람은 유전적 취약 인자를 가졌으며, 이런사람은 콜레스테롤 식이를 계속 다량섭취하면 문제가 되며, 동맥 경화증이 발생할 위험률이 높아진다.
달걀과 돼지고기, 쇠고기 등이 바로 경화증을 모든 사람에게 일으킬 것처럼 보도하고 또한 믿는 것은 문제가 있다. 이러한 식품들은 오히려 단백질과 지방의 좋은 공급원이다. 특히 달걀은 값싼 동물성 단백질 급원으로 서민들에게는 오헤려 권장해야 할 식품이다. 그리고 성장기 아동에세는 성장의 급원을 제공할 수 있는 양질의 단백질 식품이다.
표2. 식품 중의 콜레스테롤, 지방, 단백질 함량(100g당)
식품
지방
콜레스테롤
단백질
달걀
11.2
548
12.7
난황
32.9
1602
16.2
새우
1.1
150
17.8
대합
2.5
101
7.5

2.0
50
7.6
쇠고기(살코기)
14.7
91
22.8
돼지고기(살코기)
14.5
89
20.7
돼지고기(삼겹살)
31.8
-
9.1
닭고기(흰살)
3.4
80
20.7
중년기 이후 계속적인 스트레스와 흡연과 함께 비만증, 고혈압의 가벼운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하면 어느정고 체중 조절에 주의해야 한다. 또한 하루에 1개 이상의 달걀을 섭취하는 것을 고려해 보아야 한다. 중년기 이후의 모든 질병의 원인이 체중 증가에서 비롯되므로 이를 조절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과로를 피하고 되도록 낙천적인 성격을 가져서 스트레스를 극복하는 것이 건강의 지름길이다. 그리고 아직도 콜레스테롤과 동맥경화증에 대한 연구는 계속되고 있으며, 여러 가지 논란이 일고 있음을 지적해 둔다.
7. 지방의 식품섭취현황
1.한국인의 지방 섭취현황
1970년대 이후 국민 소득의 증가와 1980년내 후반기에 있었던 88올림픽 등 대규모의 국제적 행사로 인하여 국민의 식생활이 서구화 되면서 이에 요구하는 유종이 다양화되었으며 소비량도 상당히 증가하여다. 지방이 차지하는 에너지 바율을 살펴보면 1960년대에는 전체 에너지 소비량의 7.2%, 1975년에는 8.5%, 1990년에는 13.9%로 증가하였고 1995년에는 19.1%까지 25년 사이에 12%이상이 증가하였다. 에너지 비율의 변화를 도표로 살펴보자.
지방 섭취량은 전국 1인 1일 평균 38.5g으로 그중 동물성 식품에서 섭취한 양이 18.0g이다. 지방을 공급하는 식품군별 비율을 보면 식물성 식품에서 53.2%, 동물성 식품에서 46.8%이며 전체 식품군 중 육류가 25.5%로 가장 높았고, 식물성 유지에서 18.7%곡류 및 그 제품에서 17.7% 그리고 어패류에서 9.9%를 공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곡류 및 유제품에서 섭취하는 비율이 예상외로 높은 것은 라면이나 빵류, 케익류 등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1982년 이후 섭취되는 비율은 점점 증가되다가 90년대에 들어와 안정화되는 경향이다. 하루에 1인당 소비하는 평균 유지 소비량은 세계적으로 45g인데 우리나라의 경우 7.3g에 불과하다. 그 중 식물성 유지류가 7.2g이고 동물성 유지에서 0.1g으로 식물성 유지 섭취가 절대적이다.
3. reference
네이버 지식 검색
식품 영양학
  • 가격1,6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5.12.19
  • 저작시기2015.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053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