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공직윤리
2. 부정부패
3. 내부고발자
4. 행정인 상
2. 부정부패
3. 내부고발자
4. 행정인 상
본문내용
1. 공직윤리의 개념
이서행, 1991:25
한 나라의 공직자들이 공무 수행 과정에서 마땅히 지키고 반드시 준
수해야 할 행동 규범
전, 1986:275
올바른 행정은 무엇인지 그 답을 찾기 위한 일종의 성찰과정
로젠블룸, 1989:464
공직자들이 국민의 신뢰를 얻게 해 주는 내부 통제 장치로서, 공직
자들의 행위에 정당성을 부여해주는 공식적·비공식적 제약
왈도, 1980:103-110
직접적인 표현은 없지만, 공무원들이 반드시 준수해야 할 보편적 의
무로서, 국가에 대한 충성심, 질서 유지, 생산성, 경제성, 능률성과
같은 개념들을 강조
2. 공직윤리의 행정철학적 함의
공무원들에게는 국민의 뜻을 잘 받들어 행정을 수행해야 할 민주적
책임성과 국민의 세금을 아껴 써야 할 능률적 책임감이 크게 부여됨
공무원들은 윤리적 공간속에 존재해야 하고, 그들의 행정행위는
고도의 도덕 원천으로 구성된 일련의 가치 세트에 뿌리 두어야 함
3. 다산에 나타난 공직윤리
공직자라면 반드시 지켜야 할 육렴(六廉) - 여섯 글자의 비결
1)재물에 청렴
2)색(色)에 청렴
3)직위에 청렴
4)청렴해야 투명한 행정 가능
5)청렴해야 공직자로서의 권위세울 수 있음
6)청렴해야 강직한 공직자가 됨
다산 정약용의 공직윤리 핵심
청렴을 강조
- 재물, 성윤리, 권한 등에서 청렴
4. 공직윤리의 확립방안
행정적 측면
- 공직사유관 · 무사안일 · 과도한 의리의식 · 공사의 혼동 등 전근대적 의식의 개혁, 민주적 공복관 확립, 상위층의 솔선수범적 가치, 최고결정권자의 부패척결의지 등 필요
국조적·제도적 측면
- 국민권익위원회의 독립성 강화와 내실화, 내부고발자제도의 내실화, 재산등록 및 공개제의 효과적 운영, 공직자윤리위원회의 심사권 확대, 국민 · 주민 감사청구권의 요건 완화, 내부통제의 강화, 신상필벌의 확립, 적정보수의 지급, 재원고갈 등 연금의 문제점 해결, 정보공개의 활성화, 주민소환제도의 내실화 등 필요
환경적 측면
- 정치권력의 민주화, 국민의 행정에 대한 의식개선, 청렴계약제의 철저한 이행, 사회 전반의 윤리의식 풍토조성, 외부통제의 강화 등 필요
이서행, 1991:25
한 나라의 공직자들이 공무 수행 과정에서 마땅히 지키고 반드시 준
수해야 할 행동 규범
전, 1986:275
올바른 행정은 무엇인지 그 답을 찾기 위한 일종의 성찰과정
로젠블룸, 1989:464
공직자들이 국민의 신뢰를 얻게 해 주는 내부 통제 장치로서, 공직
자들의 행위에 정당성을 부여해주는 공식적·비공식적 제약
왈도, 1980:103-110
직접적인 표현은 없지만, 공무원들이 반드시 준수해야 할 보편적 의
무로서, 국가에 대한 충성심, 질서 유지, 생산성, 경제성, 능률성과
같은 개념들을 강조
2. 공직윤리의 행정철학적 함의
공무원들에게는 국민의 뜻을 잘 받들어 행정을 수행해야 할 민주적
책임성과 국민의 세금을 아껴 써야 할 능률적 책임감이 크게 부여됨
공무원들은 윤리적 공간속에 존재해야 하고, 그들의 행정행위는
고도의 도덕 원천으로 구성된 일련의 가치 세트에 뿌리 두어야 함
3. 다산에 나타난 공직윤리
공직자라면 반드시 지켜야 할 육렴(六廉) - 여섯 글자의 비결
1)재물에 청렴
2)색(色)에 청렴
3)직위에 청렴
4)청렴해야 투명한 행정 가능
5)청렴해야 공직자로서의 권위세울 수 있음
6)청렴해야 강직한 공직자가 됨
다산 정약용의 공직윤리 핵심
청렴을 강조
- 재물, 성윤리, 권한 등에서 청렴
4. 공직윤리의 확립방안
행정적 측면
- 공직사유관 · 무사안일 · 과도한 의리의식 · 공사의 혼동 등 전근대적 의식의 개혁, 민주적 공복관 확립, 상위층의 솔선수범적 가치, 최고결정권자의 부패척결의지 등 필요
국조적·제도적 측면
- 국민권익위원회의 독립성 강화와 내실화, 내부고발자제도의 내실화, 재산등록 및 공개제의 효과적 운영, 공직자윤리위원회의 심사권 확대, 국민 · 주민 감사청구권의 요건 완화, 내부통제의 강화, 신상필벌의 확립, 적정보수의 지급, 재원고갈 등 연금의 문제점 해결, 정보공개의 활성화, 주민소환제도의 내실화 등 필요
환경적 측면
- 정치권력의 민주화, 국민의 행정에 대한 의식개선, 청렴계약제의 철저한 이행, 사회 전반의 윤리의식 풍토조성, 외부통제의 강화 등 필요
추천자료
부패와 윤리
[행정학]공직자 윤리법
2009년 2학기 행정통제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공직부패)
[행정통제론] 공직부패의 개념과 이에대한 대책과 우리나라의 공직부패 방지기능
[공무원]공무원(공직자)의 정의, 공무원(공직자)의 고용현황, 공무원(공직자)의 업무수행능력...
공무원(공직자)의 모집, 공무원(공직자)의 요건, 공무원(공직자)의 삶의질, 공무원(공직자) ...
2011년 2학기 행정통제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공직부패의폐해와해결책)
자아정체성 부정을 통한 윤리적 고찰
자유의지 부정을 통한 윤리적 고찰
공직자가 가져야 할 국가관과 윤리관에 대하여 서술하시오
공직자 부패, 왜 문제인가?
공직부패(公職腐敗)의 개념 및 특성
공직부패(公職腐敗) 유발요인 - 사회구조적 요인 및 개인적 요인
사회복지사로서 재직 중인 사회복지기관에서 부정과 비리가 발견되었을 때 윤리적 관점에서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