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정행위와 동일시하여 논할 것인가, 이들과 구별되는 제3유형의 것으로 논할 것인가는 일본행정법의 미개척분야의 하나로 금후의 과제로 남아 있다.주51)
주51) 궁전삼랑, 전게논문, pp.58 59.
V. 결 론
_ 이상에서 일본 행정판례상의 자유재량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5.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판례를 통하여 국가배상책임을 중심으로 하고 공무원 개인책임을 부수적으로 인정하여 서로의 조화를 이루려고 하였다. 오늘날에 와서는 공무원개인의 불법행위책임을 긍정하는 것이 피해자구제기능의 중요성이 다소 저하되지만, 공무원의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9.02.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행정법상의 신뢰보호의 원칙, 고시계 2005. 4월호
박종국, 행정법상 신뢰보호의 원칙, 안암법학 제4집, 1996.
강현호, 신뢰보호원칙에 대한 재고찰, 성균관법학(제17권), 2005.
이동흡, 최근 행정소송판결의 주요동향, 행정판례연구 9집, 2004. Ⅰ.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12.09.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판례를 통하여 국가배상책임을 중심으로 하고 공무원 개인책임을 부수적으로 인정하여 서로의 조화를 이루려고 하였다. 오늘날에 와서는 공무원개인의 불법행위책임을 긍정하는 것이 피해자구제기능의 중요성이 다소 저하되지만, 공무원의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2.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행정소송과 행정심판
Ⅲ. 행정소송과 행정규칙
Ⅳ. 행정소송과 행정쟁송
1. 의의
1) 넓은 의미의 행정쟁송
2) 좁은 의미의 행정쟁송
2. 행정쟁송의 기능
1) 권리구제
2) 행정통제
Ⅴ. 행정소송과 행정행위
1. 명령적 행위
1) 명령
2) 허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3.07.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법 또는 부당한 처분도 포함되므로 재량행위에 대한 심판통제를 제도화하고 있다.
3.사법적 통제
1)법원에 의한 통제
행정청의 재량이 그 권한을 남용·일탈·해태한 경우에는 위법이 되어 행정소송의 대상이 된다.
2)헌법재판소에 의한 통제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9.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법상의 징계
: 영창, 근신
기타책임
변상책임 : 회계관계직원의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에 의한
책임(회계부정은 징계와 변상을 병과)
민사책임 : 불법행위에 따른 손해배상시 구상책임
형사책임 : 직권남용 등 형사책임, 행정형벌책임
(예: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3.12.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법치주의가 완성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현대에 들어와 행정법의 일반원리의 행위규범적 성질이 더욱 강조되는 것이다.
그런데, 헌법과 헌법원리의 경우 구체적인 행정 사건에 직접 적용되는 것이 아니고, 헌법재판소에서 위헌 여부를 심사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20.03.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법이 되어 행정소송의 대상이 된다. 또한 재량권의 0으로의 수축이론과 무하자재량행사청구권의 법리는 재량행위에 대한 사법적 통제의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
2)헌법재판소에 의한 통제
헌법 제 111조 1항, 헌법재판소 제 68조 1항에 의해 재량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700원
- 등록일 2005.06.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행정절차의 경제성 사이에 양이념의 조화로운 해결이 모색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측면에서 본다면 일정한 시간적 제한 하에 하자의 치유를 인정하자는 제한적 긍정설이 타당한 것으로 보여 진다.
그런데 대법원 판례는 “치유를 허용하려면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10.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