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능’을 나타내는 의지성 동사이고, (16)번은 ‘인식가능’을 나타낸 비의지성 동사임을 알 수 있다.
Ⅲ. 결론
여기까지 가능보어의 부정형식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가능보어의 부정형식은 긍정형식보다 더 많이 사용되며, 그 이유는 불가능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0.05.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보어 동사와 “돌아온다(回)” 라는 뜻의 방향보어 동사에서 동사와 보어 사이에 “得” 을 넣으면 각각 “듣고 이해할 수 있다(得)” 와 “돌아 올 수 있다(回得)” 라는 가능의 의미가 된다.
이상으로 중국어의 언어학적 특징에 대하여 간략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24.02.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가능을 표시하는 ‘得’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21) a) 做得地
b) 做不得
이런 例는 특히 방언에서 많이 찾아볼 수 있다.
(22) a) 吃得得 (江蘇方言)
b) 吃不得
2. 可能補語로 쓰일 수 있는 단어와 구
(1) 동사동사구
(2) 형용사
3. 가능보어의 어법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5.04.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하여, 선청어문 21, 서울대 국어교육과
선우용(1974), 국어 보어 설정에 대한 재고, 국어국문학 64, 국어국문학회
윤평현(1994), 국어의 보어에 대하여(1) 학교문법체계를 중심으로-, 어문논총
이홍식(1996), 국어 문장의 주성분 연구, 서울대 박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0.1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하여 ◈
(3) 부사어의 갈래
(4) 부사어의 특징
(5) ‘바로’ 와 ‘여기’ 의 품사와 문장 성분 생각하여 보기
(6) 필수적 성분의 부사어
(7) 수의적 부사어와 필수적 부사어 구별하기
<독립 성분 - 독립어>
(1) 독립어(獨立語)
(2) 독립어의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3.04.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