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거창가>를 중심으로 살펴보겠다.
<갑민가>
저기가는 저사람아 네행색 보아하니
군사도망 네로구나
요상으로 볼작시면 배적삼이 깃만남고
허리아래 굽어보니 헌잠방이 노닥노닥
곱장할미 앞에가고 전태발이 뒤에간다
<갑민가:현문 1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08.03.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貪官汚吏 鐵山獄을 면힝손냐
陽界法所 둘너보니 刑曹와 捕盜廳과
禁府와 典獄리라 西小門 잇건마난
路돌리 더옥 중타 聖上니 알으시면
이다 寃情 雪恥힝고 生民塗炭 건지리라
昨日會哭 鄕會판의 狀頭百姓 査問할졔
李彦碩의 어린 同生 쥣길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2.05.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거창가』, 월인 (2000)
진경환, 「19세기 반봉건항쟁과 문학적 대응」『민족문학사강좌(上)』창작과 비평사 (1995) 1. 머리말
2. 민요와 민중역량
2.1 난리를 구가하는 노래
2.2 近代民謠 아리랑
3. 설화와 민중역량
3.1 진인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6.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거창가> 일부
관료들의 가렴주구는 족징 조선 시대에, 군포세(軍布稅)를 내지 못하는 사람이 있는 경우에 그 일가붙이에게 대신 물리던 일. 지방의 벼슬아치들이 공금이나 관곡(官穀)을 사사로이 썼거나, 군정(軍丁)이 도망하거나 사망하였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3.05.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거창가> <기음노래> <합강정가> <한시절곡> <과부가> <관등가> <과부청산가> <청상가> <청춘과부곡> <단장이별곡Ⅰ> <고상사곡> <사미인곡> <사미인곡> <사랑가> <상사별곡> <상사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3.08.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