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해가 연해주 최초의 봉건국가이면서 다민족국가로 규정되고 있음.
~~~~~~~~~~~~~~~~~~~~~~~~~~~~~~~~~~~~~~~~~~~~~~~~~~~~~~~~~~~~~~~~~~~~~~~~~~~~~~~~~~~~~ 각 국의 발해사를 보는 시각
1.발해(渤海)란?
2. 발해사를 보는 각 국의 인식
1)한국
2)중국
3)북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11.15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발해는 멸망하고, 국왕 이하 대부분의 신하는 요에 잡혀 갔지만 세자 대광현에 의해서 935년까지 항쟁은 계속 되었다. 이후에도 발해 후국들이 계속 발해의 역사를 이어갔다는 점에서, 발해 후국에 주목해야 할 것이다.
Ⅹ. 발해사에 대한 인식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7.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구려를 계승한 국가도 아니었고, 당의 지방정권도 아닌 말갈족이 건국한 독립국가였다는 주장으로써, 발해사가 한국사나 중국사 어느 한 쪽일 수 없다는 것이다. 러시아학계의 발해사에 대한 시각중에 주목되는 점은 발해가 중앙아시아계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4.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구려 역사 연구의 몇가지 문제에 대한 시론>, 신동아 2003년 9월호
3. 국사편찬위원회 <동북공정> 관련 자료
4. 고구려 연구재단 <한국 근대사와 고구려˙발해 인식 심포지엄>
5. <중국의 동북공정 논리와 그 한계>, 방향숙, 국사
|
- 페이지 26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5.11.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발해사에 대한 관심은 19세기에 활동한 엔 야 비추린(N.Ia.Bichurin) 등에서 이미 나타난다. 그로부터 20세기 전반까지는 연해주의 발해 유적들에 대한 산발적인 조사가 진행되었다. 발해사 연구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한 것은 1950년대이다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4.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