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려가 황제국으로서의 칭한 의의-자주적- 와 조선이 스스로를 제후국으로서 칭한 것의 의의-사대적-’이라는 견해는 올바르지 못하다고 생각한다.
Ⅳ. Reference
1. 한국역사연구회 지음 ‘고려 황도의 개경’ 창작과 비평사 2002
2. 김창현, 김철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1.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려는 대외적으로는 제후국을 표방했으나, 내부적으로 황제국을 지향하는 이중 체제를 유지함으로써 자주적인 면모를 과시했다. 물론 원 간섭기 하에서 그런 이중체제도 붕괴되기에 이르지만 세계 제국 원에 대항하여 독립적 지위를 쟁취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6.05.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려의 자주적 성격을 띤 것이었다. 그는 이러한 정책을 통해 고려의 태양의 시대를 열게 하였다. 이후에도 고려는 황제를 칭하고 황제국을 대외적으로 알리는 등 나라의 위상을 높이 알렸으며 몽고국에 의해 치열한 항쟁 끝에 제후국으로 편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2.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려의 문화를 한 층 높인 점, 역사를 서술할 때 사실대로 기록하려는 객관적 서술자세(述而不作)를 지닌 점, 역사를 교훈과 후세의 귀감으로 삼았고, 역사서술을 현실비판의 도구로 삼아 조선초의 역사서술은 물론 이후의 전통사학에 큰 영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7.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조선 초기의 유학자들의 손으로 편찬되었기 때문에 사대적인 명분론에 입각한 儒敎史觀에 의하여 편찬되지 않을 수 없었다는 한계도 분명 있다. 《高麗史節要》는 《高麗史》와는 다른 신료중심의 편년체사서를 또 만들어냄으로써 친왕적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6.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