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백자, 돌베개, 2002
이경희, 한국도자사, 형설출판사, 1987
양세화, 조선백자의 변천과정에 나타난 조형적 특징 연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정양모, 고려청자, 대원사, 1998 Ⅰ. 고려청자
Ⅱ. 분청사기
Ⅲ. 백자
Ⅳ. 도자기의 문양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3.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한국의 도자기』, 문예출판사, 1991.
http://www.hankook.com 한국도자기
여주민속도자기조합 홈페이지 www.yeoju.co.kr 1. 서론
2. 본론
1) 고려에서 조선에 이르기까지 그 시대적 개관
2) 청자, 분청사기, 백자-국보를 중심으로
3. 결론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3.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도자기 산업의 중심이 되었다.
그 후 조선의 분청사기는 한일전쟁으로 인한 도공과 가마의 상실, 사회적 변화를 거치며 점차 백자화 되어가며 사라지게 되었다.
3. 백자
14C 도자기는 중국으로부터 청자에서 백자 중심으로 변화한다.
당시 중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09.02.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분청사기 연구, 일지사
김재열(2000), 백자분청사기, 예경 펴냄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1983), 부안 유천리요 고려도자, 이화여자대학교박물관 특별전 도록(1)
정양모 저(1998), 고려청자(빛깔있는 책들 200), 대원사
정양모(1992), 한국의 도자기, 서울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9.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분청사기와 같은 도자기는 만들지 못했다. 우리나라만이 청자에서 분화시켜 더욱 발전시킨 것이다. 한국에서만 만들었다는 유일성은 분청사기의 가치를 더욱 높게 만든다. 그러나 분원이 생기고 백자가 주류로 떠오르면서 흡수되어 소멸된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6.10.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