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처짐 실험에 의해 구해진 steel의 탄성계수가 된다.
⑨주어진 steel의 탄성계수와 ⑧에서 역계산된 탄성계수와의 오차를 구하여 보고한다.
⑩Aluminium과 brass 부재를 사용하여 위의 ①~⑧ 절차를 반복하여 수행한다.
그림 C. 곡률반경 실험 Layout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3.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곡률반경은 이론식과 실험식을 엑셀을 통하여 값을 구한결과 거의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PART 5. 물체의 위치에 따른 보의 처짐
실험방법
1. 스팬길이를 900mm로 한다음 스팬에서 안쪽으로 100mm로 하여 양쪽에 클램프를
설치하고 보의 중앙에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6.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실험에서 얻어진 그래프가 직선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처짐량과 지간의 세제곱이 비례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실험 4
처짐의 형상과 곡률 반경의 측정
보의 재질은 철을 사용했고 하중은 300g을 주었다.
Material
철
value : 207*109
Width b: 19
|
- 페이지 26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0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실험:-0.19 , 이론:-0.06
260
0.017576
-0.10 -0.13
320
0.032768
-0.33 -0.25
380
0.054872
-0.60 -0.42
440
0.85184
-1.56 -0.65
500
0.125
-2.43 -0.95
지지구간의 3제곱-처짐량 곡선을 봤을때 대체적으로 비례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3 처짐의 형상과 곡률반경의 측정
양단지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6.05.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실험 결과 4-2(황동)
재료
Brass
E = 105
Width b : 0.019 m
I :
Depth d : 0.003 m
m : 0.4 kg
length l : 0.4 m
거리 x
(mm)
하중재하 전 변위계의 처짐
(m)
하중재하 시 변위계의 처짐
(mm)
실제 처짐
(mm)
이론 처짐
(mm)
곡률 반경 R
(mm)
0
-0.45
-1.47
-1.02
-1.18
-
20
-0.46
-1.44
-0.9
|
- 페이지 29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7.09.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