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논어’
차주환 저 ‘孔子 : 그 신화를 밝힌다’
具塚茂樹 저 ‘공자의 생애와 사상’
한상규 저 ‘孔子의 가르침’
민병산 저 ‘孔子의 思想’ 《서론》
《본론》
1. 공자와 그의 생애
2. 공자의 學文
3. 저술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6.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仁人 無求生以害仁 有殺身以成仁 [논어]<위령공>)
2. 극기복례(克己復禮)
仁의 체현을 위해 공자가 제시한 구체적 실천 방법, [논어] \'안연편\'에서 안연이 인을 물었을 때, 공자가 \"자기를 이기고 예로 돌아가는 것이 인을 구하는 방법이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7.03.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상은 추상적이고 이론적이기보다는 구체적이고 효용적이었다.
(1) 인(仁)
공자는 인의 개념을 여러가지 윤리적인 덕의 기초가 되는 심적 상태라고 정의한다. 이를테면 논어에 “자기를 극복하고 예로 돌아가는 것을 인이라고 한다.(克己復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9.08.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제자백가
2. 공자의 삶 속에 어우러진 위기지학(爲己之學)
3, 인간다움, 인(仁)의 가치
4, 군자(君子)와 수기안인(修己安人)
5, 예(禮)와 정치
6, 인간다움과 극기복례
7, 정명(正名)과 덕
8, 실학(實學) - 근대를 향한 꿈
참고문헌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20.09.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인 예에 돌아가야 한다. 즉 \"극기복례(克己復禮)\"다. 그것은 바로 \"나를 죽이고라도 인을 이룩하는(殺身成仁)\" 것이다
<논어> 첫 말이 \"배우고 때로 익히니 어찌 즐겁지 아니한가(學而時習之 不亦說乎)\"로 시작된다. 공자가 말하는 학문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1.05.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