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 시중을 지낸 정배걸의 ⑵홍문공도, 참정 노단의 ⑶광헌공도, 좨주 김상빈의 ⑷남산도, 복야 김무체의 ⑸서원도, 시중 은정의 ⑹문충공도, 평장사 김의진의 ⑺양신공도, 평장사 황영의 ⑻정경공도, 유감의 ⑼충평공도, 시중 문정의 ⑽장헌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10.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이공도(십이도)
(1) 십이도란 고려 중기, 국자감이 부진하자 최충이 사설 교육기관으로 구재학당을 열어 학생을 교육한 데서 비롯됨.
(2) 교육목적 : 과거준비와 일반교양
(3) 교육내용 : 국자감의 유학교육과 같았다. 즉, 9경, 3사, 시부, 사장
(4)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3.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구재학당(九齋學堂:후에 문헌공도)에서 비롯한 것이다. 이는 당시 국학(國學:국자감)이 시설 ·교육면으로 유명무실하여 학업 지망생이나 과거 응시자가 권위 있는 유학자가 세운 사학으로 모여들어 성황을 이룸으로써 다른 현관(顯官) 퇴직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10.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구재학당에서 잘 알 수 있다. 구재(九齋)에서는 구경(九經)과 삼사(三史)를 중심으로 가르치며 시부(詩賦)의 교육도 하였다.
-교육방법 : 독서성송(讀書成誦), 온고지신(溫故知新), 하학상달(下學上達), 조장(助長)
도서성송(讀書成誦) : 책을 읽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12.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구재학당 또는 시중최공도, 문헌공도 라고 불렀다.
5) 서당
서당 - 지방에 자생적으로 생겨나 민간에 운영된 사립학교
초급수준에서 과거준비수준 까지 다양한 교육수준 까지 다양했다.
3. 과거제도와 교육
과거제도
-고려 광종9년에 처음으로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08.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