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법판례평석』, 광장서적출판부, 1999.
논문
이달휴, 「공무원의 노동3권 제한과 공공복리」, 경북대학교 법학연구원 『법학논고』 제31집(2009.10).
최영호, 「공무원 노동조합 설립을 둘러싼 노동법상 문제」, 한국노동법학회, 『노동법학』 제1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12.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법’이라 한다)에 의해 단결권과 단체교섭권이 인정되고 있다. 이는 교육관계법의 특별법이 아니라 노동관계법의 특별법으로서 제정된 것이다. 교원노조법 제1조 ‘이법은 국가공무원법 제66조 제1항 및 사립학교법 제55조의 규정에 불구하고
|
- 페이지 28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6.04.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노동3권의 보장
대한민국 헌법 제 33조 2항
\"공무원인 근로자는 법률이 정하는 자에 한하여 단결권·단체교섭권 및 단체행동권을 가진다\"
국가공무원법 제66조 제 1항과 지방공무원법 제58조 제1항
\"공무원은 노동운동 기타 공무 이외의 일을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3.09.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제한할 수 있을 따름이며 이 경우도 그 제한은 최소한도에 그쳐야 하고 노동3권의 본질적 내용을 침해하여서는 아니된다 자세한 내용은 성낙인 「헌법연습」pp.551-554 참조
.
4. 소결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국가공무원법 제66조 제1항과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10.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법 제정 이후의 사정
‘교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은 우여곡절 끝에 1999년 1월 29일 공포되었다. 법제정의 목적은 “국가공무원법 제66조 제1항 및 사립학교법 제55조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노조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