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문본의 성격을 중심으로』, 한국고전문학회, 2000.
지연숙, 『<최척전> 이본의 두 계열과 선본』, 한국고소설학회, 2004.
신태수, 『<최척전>에 나타난 공간의 형상』, 한민족어문학회, 2007.
閔泳大, 『<崔陟傳>考-作者의 體驗反映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01.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에 나타난 작가의 여성관, 2003
이복규,〈薛公瓚傳〉국문본의 발견 경위와 의의, 1997
이복규, 最古 한글표기소설 『薛公瓚傳』 국문본의 해제와 원문, 1997
이복규, <설공찬전> 국문본을 둘러싼 몇 가지 의문에 대한 답변, 1998
이복규,〈설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2.07.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문본이 발견된 이후, 이 작품을 알리려는 몇몇 대중매체의 노력이 있었다. 또한 연극무대에서 「설공찬전」이 현대적 감각에 맞도 록 재탄생한 사례가 있었다. 그 노력과 성과를 소개하고 앞으로 우리가 계승해야할 과제 에 대해서 생각해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6.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문본 원작이 어떻든 간 실제 이본의 표기가 한글로 되어 있는 경우.
이 학계에 소개되었고, 그 후 김일근 교수에 의해 또 하나의 국문본 <주생전>이 공개되었다. 이복규, <우리 고소설 연구>, 역락, 2004, 33쪽.
특히 이복규의 이본은 필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8.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문본이 발견됨으로써 이 가설이 물증으로 증명되었다.3)
1) 이복규 편저, 새로 발굴한 초기 국문, 국문본 소설, (박이정 1998) 40쪽
2) 이복규 편저, 새로 발굴한 초기 국문, 국문본 소설, (박이정 1998) 40쪽
3) 이복규 편저, 설공찬전,(시인사, 1997)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3.03.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