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근로활동을 하지 않는 가구는 소득이 전혀 없음 : 근로활동가구($1,368), 비근로활동가구($645)
Ⅶ. EITC(근로장려세제, 근로소득보전세제)의 모형
한국형 EITC모형은 3가지이다.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이하 기초법)의 최저생계비를 기준으로 하고,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6,500원
- 등록일 2010.10.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근로빈곤층에게는 신자유주의는 개혁이 아니라 실질적 혜택, 한국노동사회연구소, 2005
박능후, 미국 근로소득보전세제(EITC)의 특성과 정책적 함의, 국제노동브리프, 한국노동연구원 국제연구실, 2005
박능후·김재진, 한국형 EITC 도입 타당성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4.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것이라고 생각한다.
다. 근로장려세제에 대한 홍보를 강화해야 한다.
국세청 자체 조사자료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민 중 약 55%는 근로장려세제에 대해 잘 알지 못하고 있다고 한다. 근로장려세제가 도입된 지, 이미 10년이 넘었지만 근로장려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6,900원
- 등록일 2021.12.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Ⅰ. 서론
Ⅱ. 본론
1. 근로장려세제
1) 근로장려세제의 필요성과 도입배경
2) 근로장려세제의 성장과정
3) 내용
2. 한국 근로빈곤층의 규모및 특성
1) 근로빈곤층의 규모 및 추세
2) 근로빈곤층의 특성
3. 근로장려세제 효과와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3,500원
- 등록일 2012.02.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근로장려세제도 향후 급여수준을 미국 수준으로 설정하고자 하는 대안이다. 미국의 경우 최대급여액 $4,400은 중위가구소득($46,326)의 약 10% 수준이다. 이를 우리나라에 적용할 경우 중위가구소득 3,385만원의 10%인 약 330만원 수준이다. 향후 이
|
- 페이지 24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2.04.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