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근초고왕』, 학연문화사, 2000.
이도학, 『살아있는 백제사』, 휴머니스트, 2003.
정덕기, 『한성도읍기의 백제』, 아디람, 2007.
조경철, 「백제 칠지도의 상징(象徵)과 명협(蓂莢)」, 한국사상사학회, 『한국사상사학 31』, 2008.
한국:역사교과서연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8.04.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이소노카미 신궁은 고대 일본 건국때 사용했다는 전설적인 칼을 모시는 큰 신사로서, 군사를 관장하던 모노노베씨가 관리하였고 야마토 정부의 무기고 역할도 함께 하였다.
칠지도
근초고왕이 일본에 하사한 것이다.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4.05.28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칠지도 http://dugok.x-y.net/kor-his/art/7jido.htm
한일관계사학회 http://www.hanilhis.or.kr/ 1. 칠지도의 발견
2. 일본의 주장 - 칠지도는 백제왕이 바친 헌상품이다.
3. 한국의 주장 - 칠지도는 근초고왕의 하사품이다.
4. 칠지도는 백제 근초고왕의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6.08.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근초고왕의 아들로 뒤에 근구수왕이 되는 귀수(貴須) 또는 구수(仇首)의 다른 표현이다. 즉 근구수왕은 375년에 왕위에 오르므로 그 이전인 근초고왕대(346~374년)에 왕세자로서 왜왕을 위해 칠지도의 제작을 주관하였던 것이다. 지(旨)는 체(替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5.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칠지도가 우리에게 시사하는 것은 과연 무었인가?
단지, 일본이 주장하는 것처럼 임나 일본부설을 증명하는 자료인가? 여러 가지 자료들을 살펴본 결과 그렇게 보이지는 않는다. 오히려 칠지도는 근초고왕이 마한 지역을 통일한후 자신의 업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6.04.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