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강반야 깨침마음 여기에는
중생부처 눈속의 꽃이로라
중생부처 눈속의 꽃이다
알고보면 구원받은 중생구제 본래부터
있지않네
일체중생을 공경하는 것이 「降伏其心」이다
<위--없는 깨침위해 몸과마음 닦는--글>
해동사문 원효지
|
- 페이지 23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금강반야의 철저한 무상· 무주의 정신을 표현하고 있다.
이러한 점들을 종합해 볼때 오가해는『금강경』에 대한 인도유식파의 논리적 해석으로부터 중국선의 형성 완숙에 이르는 과정을 의식적으로 배열한 것으로 보인다.그것은 무착 세친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반야, 법화, 열반 외에 화엄, 무량수(無量壽), 능가( 加), 유마(維摩), 승만(勝 ), 대집(大集), 금강(金剛) 등 여러 경이 연달아 각 방면에서 많이 편찬되어 퍼지고 동시에 많은 보살, 論師(논사)가 배출하여 논과 주소(註疏)를 작성하고 대승불교의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4.04.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금강경』이 반야의 지를 잘 드러낸 경전이라고 한다. 그런데 소태산이 覺魂에서 불법과 만나고, 『金剛經』으로 대표되는 불교경전의 수용은 소태산의 교판적 안목에서 볼 때, 般若의 空觀으로 투영된 세계요 불타의 正見에 의한 근본적 진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2.05.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