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 내에 있으면 귀무가설을 기각하지 못하며, 그 범위 밖(기각역)에 속하면 귀무가설의 진실성을 의심하여 기각하게 된다. 따라서 양측/좌측/우측 검증에 관계없이 표본통계량(검증통계량, test statistics)이 유의수준에 해당하는 - 통계표로부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기각역에 들어가면 귀무가설을 기각하고, 대립가설을 채택
귀무가설을 기각할 확률을 유의수준(α, significance level) 이라고 하며, 기각역은 유의수준이 정해지면 구할 수 있다.
유의수준은 보통 1%, 5%, 10%중의 한 값이 사용된다.
HA와 H0를 설정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900원
- 등록일 2004.05.01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계량=5.24
④기각역:=3.115
⑤결과해석 : 두 집단 간 분산의 등분산성 검정은 ‘Equality of Variances’에서 얻어진 F 통계량을 이용한다. F 통계량 값은 5.24이며, 이 값에 대응하는 유의확률이 0.0053으로서 유의수준 =0.05>유의확률=0.0053으로 유의수준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21.05.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멍청이
-귀무가설이 옳은데도 불구하고 귀무가설을 기각하는 오류를 제 1종 오류라고 함.
-기각역의 크기를 작게 하면 제 1종 오류는 작아지나 제 2종 오류는 커지고, 기각역을 크게 하면 제 2종 오류는 작아지나 제 1종 오류가 커짐.
-따라서,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4.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 단측검정과 양측검정
- 양측검정 : 중심으로부터 좌우가 같은 크기의 기각역과 채택역을 설정 H0 : μ = 30.0
H1 : μ ≠ 30.0 과 같은 형태
- 단측검정 : 우측 혹은 좌측만 기각역이 생기는 검정
① 좌측검정 : H0 : μ = 30.0 Ha : μ < 30.0
② 우측검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6.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