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15건

남귀여가혼속과 친영론의 대립) 친영론이란 : 결혼 후 곧 여자가 남자집으로 옮겨와 남자집에서 사는것을 말한다. 고려사에 의하면 태종은『조선의 혼인은 남자가 여자집으로 장가드는데 이것은 큰 웃음거리로 된다. 우리나라의 관문물이 오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1.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남귀여가혼(처가살이혼)이었다. → 부모의 양계를 동등하게 존중한 것이 큰 특징 족보와는 성격이 크게 다르다. - 고려 성종 때의 복제규정에서 중국과 달리 외조부모에 대한 상복을 친조부모에 대한 복제와 같이 자회주년으로 했던 것도 부
  • 페이지 4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12.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었고, 재산의 균분 상속이 15세기 때와는 달리 사족양반의 재산 소유를 점점 영세화시켜 재산증대와 세력신장에 장애가 되었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추구와 장애가 사족양반들간의 경제적 편차가 더욱 확대되던 17세기에 이르면서 우선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2.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때문에 왕실에서 실행하는 정도에 머물렀다. 여전히 남귀여가혼의 습속은 지속되어 남자가 여자에 장가들고 처가살이 하는 풍속이 있었다. 이렇게 남성이 장가드는 풍습은 17∼18세기까지 지속되었고, 18세기 들어 가부장제가 확고해지면서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200원
  • 등록일 2013.12.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재혼하기 어려웠음을 들어, 자유로운 재혼만으로 고려 여성의 지위가 높았음을 입증하기 어렵다고 한다. 물론 이 견해가 남귀여가혼이 여성의 지위를 보장해주는 것이 아니며, 남성들의 기처 행위를 통해 고려 여성의 지위를 남성과 대비해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1.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