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려시대사의 길잡이>, 일지사, 2007 1. 가족
1) 호적과 가족규모
(1) 대가족설
(2) 소가족설
2) 별적이재금지법과 분가규정
(1) 별적이재 규정 해석
(2) 별적이재 규정 제정 배경
2. 친족
1) 성씨의 운영과 법제에 반영된 친족구조
2)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1.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회(兩側的 親屬社會) : 부계친족뿐만 아니라 모계나 처계친족도 비슷하게 중시하는 사회 양변적 방계가족(傍系家族) 혹은 쌍계적 방계사회라고도 지칭
허흥식,〈가족제와 상속제〉《고려시대사강의》, 늘함께, 1997
노명호,〈가족제도〉《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4.10.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3, 1990.
盧明鎬, 〈高麗時代 鄕村社會의 親族關係網과 家族〉, 《韓國史論》19,서울대, 1988.
崔在錫, 〈高麗後期 家族의 유형과 구성〉, 《韓國學報》3, 1976. 1. 머리말
2. 가족의 규모
3. 가족의 구성과 혼인
4. 친족과 상속
5. 맺음말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4.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려시대 향촌사회라는 용어의 범주에 대한 검토문 하나 없는 것을 보면, 또한 향촌사회 내부 구성원의 삶이 향촌사회 지배층의 존재양태로 설명되는 것을 보면, 대세라는 것이 기왕에 존재해야 한다면 정말 그 대세라는 것은 엄정한 합리성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3.12.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려사』, 푸른역사
홍승기, 2001, 「고려귀족제사회론 시비논쟁에서 드러난 역사인식론적 문제」, 『진단학보』, 91
4. 기타문헌
김의규, 1987, 「문벌귀족제와 관료제」, 『한국사학연구입문』, 지식산업사
정용숙, 1997, 『고려시대사 강의』,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3.12.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