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려시대사의 길잡이>, 일지사, 2007 1. 가족
1) 호적과 가족규모
(1) 대가족설
(2) 소가족설
2) 별적이재금지법과 분가규정
(1) 별적이재 규정 해석
(2) 별적이재 규정 제정 배경
2. 친족
1) 성씨의 운영과 법제에 반영된 친족구조
2)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1.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려시대 가족의 구성이나 규모에 대해서는 명확하게 밝히지는 못하였으며 이와 연관되는 친족의 범위나 재산 상속의 모습 역시도 불분명한 점이 많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가족의 구성이나 친족의 범위에서 父側만이 아닌 母側이나 妻側도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4.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수 있게 되었다. 고려시대 친족구조를 살펴보면서 자녀 균등상속과 더불어 여성의 지위가 조선시대보다 높았다는 것을 보면서 무척이나 놀랐다. 솔서혼이나 재산권의 평등 분할 등에 대해서는, 어쩌면 지금 우리 시대 여성들보다 더 높은 지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11.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회(兩側的 親屬社會) : 부계친족뿐만 아니라 모계나 처계친족도 비슷하게 중시하는 사회 양변적 방계가족(傍系家族) 혹은 쌍계적 방계사회라고도 지칭
허흥식,〈가족제와 상속제〉《고려시대사강의》, 늘함께, 1997
노명호,〈가족제도〉《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4.10.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려과거제도사연구」, 일조각
박용운, 1982, 「고려시대 음서제의 실제와 그 기능」 ,『한국사연구』 36∼37
김용선, 1982, 「고려시대의 음서제에 대한 재검토」 ,『진단학보』 53∼54
최재석, 1982, 「고려조의 상속제와 친족조직」 ,『동방학지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3.12.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