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역사인식을 바탕으로 우리 민족의 일체감 조성이 통일을 위해 보다 근본적으로 해결해야 될 과제라고 생각한다. 이것이 단군 및 단군릉의 사실성 여부를 떠나 북한학계의 역사인식을 긍정적 의미로 해석할 이유가 된다. 그리고 여전히 남한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4.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역사연구를 버리고 민족의 본질을 규명해 더 나아가 통일된 공동체 민족관을 정립하는 것은 우리의 역사의 근간을 세우는 중요한 작업이라 생각한다.
참고서적
1. 이형구, 『 단군과 단군조선 』, 살림터, 1995,
2. 윤내현, 『 고조선, 우리의 미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6.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과정이다.
북한이 갖고 있는 민족주체의 사상은 분명 우리가 가져야 할 자부심을 심어주는 것으로 바람직하게 여길 수도 있으나 이는 사실에 근거하지 않은 역사와 극우 민족주의로 나아갈 수도 있음을 인식하여야 한다. 최근의 남한에서 불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9.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단군릉」에 대한 의문점
1. 무덤양식
2. 출토된 인골
3. E.S.R.연대측정법과 그 연대를 신뢰할 수 있는가
4. 조선시대부터 '단군묘'로 불러 왔다는 사실
5. 단군과 고조선사의 문제
Ⅳ. 북한의 단군릉
Ⅴ. 단군릉과 남북한 역사인식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7.01.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단군의 자손(공동운명체)으로 인식하고 특히 홍익인간이념을 가지고 반만년 역사를 이어온 민족으로 생각하는 것이 기본이었다 할 수 있다. 그 같은 민족의식은 최근 북한이 단군 실존설과 단군 민족단결론을 주창하고 나선 사정을 고려할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7.06.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