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토는 <브릴로 상자>를 본 후 ‘예술의 종말’을 선언하였다. 그는 <브릴로 상자>를 예술 작품으로 인정하였으며, 그로 인해 더 이상 예술 작품을 정의하는 기준으로서 식별가능성이 의미가 없어졌다고 단언하였다. 이러한 그의 선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9.08.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단토는 워홀부터 시작됐다고 함.
Ⅳ. 결론적 명제
① 팝아트는 일상의 예찬이다.⇒ 팝아트는 평범한 일상을 미술로 만듦으로서
대중적인 미술을 고급미술로 만들었다.(일상이 예술로)
② 팝아트는 철학적이다.⇒ 미술의 철학적 진리를 자의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3.05.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팔을 올리는 것--간의 차이를 문제삼았던 비트겐슈타인에게 깊이 영향을 받은 단토는 예술에 대해 그와 연관된 문제를 제기했다. 그의 물음은 두 개의 식별불가능한 대상들--예를 들면, 두 개의 똑같은 그릇--이 하나는 예술 작품이고 다른 하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9.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단토가 주장한 탈역사적 관점과 비슷하다. 단토의 주장과 같이 미술은 하나의 배타적인 내러티브에 예속될 필요가 없고 개별적인 내러티브를 가진 다양한 작품 모두를 포괄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앤디워홀의 「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6.05.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단토의 <예술의 종말의 이론>에서 보이는 것처럼 현재는 예술작품이라는 것에 대한 규정이 없고 예술사가 그것을 예술작품이라고 하겠다고 하면 그것은 곧 예술 작품이 된다. 이것이 우리 일상 생활용품과 차이점이 존재하는가? 차이점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12.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