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절적 발전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또 모더니즘 자체에서 미술은 자기 비판을 통해서 그 추진력을 얻는다. (강승관) <요약>
1장
4장
<비판>
과연 예술은 종말하였는가?
모더니즘의 종말에 대한 토대론적 대안
<논술형 문제>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12.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예술이 아니다 라는 주장 또한 의미 있게 받아들여짐으로써 ‘예술의 종말’이 오지 않았다 말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참고문헌
- 김혜숙·김해련. 예술과사상.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97
- 아서 단토 저, 이성훈 역. 예술의 종말 이후. 미술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9.08.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예술이 될 수 있지만 일상의 오브제가 상당히 닮은 것으로 보는 것이 가능해졌을 때만이 규정될 수 있었다. 철학적인 이해는 어떤 관찰 가능한 속성들도 실재를 예술로부터 꼭 구별할 수 없다는 것이 인정될 때 시작된다.
->단토는 워홀부터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3.05.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를 통한 상업미술품이 오히려 예술의 진보를 논하는 것인 것처럼 무제한적으로 생산될 측면이 있음을 간과해서도 안 된다.
참고 문헌
· 현대의 예술과 미학(서울대학교 출판부) 미학대계간행회 著, 2007년.
· 예술의 종말 이후(After the end of art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6.05.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를 예술의 종말 혹은 예술사의 종말을 말해주는 하나의 신호로 해석한다. 즉, 겉모습과 상관없이 무엇이든 예술작품이 될 수 있는 탈 역사적 시기, 예술의 시기 이후의 시기가 도래하였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아서C.단토는 앤디워홀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3.10.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