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토는 <브릴로 상자>를 본 후 ‘예술의 종말’을 선언하였다. 그는 <브릴로 상자>를 예술 작품으로 인정하였으며, 그로 인해 더 이상 예술 작품을 정의하는 기준으로서 식별가능성이 의미가 없어졌다고 단언하였다. 이러한 그의 선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9.08.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단토의 <예술의 종말의 이론>에서 보이는 것처럼 현재는 예술작품이라는 것에 대한 규정이 없고 예술사가 그것을 예술작품이라고 하겠다고 하면 그것은 곧 예술 작품이 된다. 이것이 우리 일상 생활용품과 차이점이 존재하는가? 차이점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12.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종말 이후(After the end of art : contemporary art and the pale of history)
(미술문화) Arthur Danto 著, 2004년
· 미학 오디세이(휴머니스트) 진중권 著, 2004년.
· 서양미술사(The Story of Art)(예경) Ernst Gombrich 著, 2003년. I. 서론
II. 본론
II - 1 전통적, 보수적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6.05.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브릴로 박스>는 예술의 종말을 신호하는가? -앤디 워홀과 단토의 헤겔주의 : 이성훈
-앤디워홀을 놓고 다양한 의견들이 대립각을 세우고 있지만 그를 염두에 두고서 예술 종말의 테제를 주장한 사람은 단토가 유일하다. 아서 C.단토가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3.10.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단토는 워홀부터 시작됐다고 함.
Ⅳ. 결론적 명제
① 팝아트는 일상의 예찬이다.⇒ 팝아트는 평범한 일상을 미술로 만듦으로서
대중적인 미술을 고급미술로 만들었다.(일상이 예술로)
② 팝아트는 철학적이다.⇒ 미술의 철학적 진리를 자의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3.05.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