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hapter.6
신라의 삼국 통일
6세기 후반 동아시아의 정세
6세기 후반 동아시아의 국제 질서는 돌궐-고구려-백제-일본의 남북 세력과 수,당-신라의 동서 세력 간의 경쟁 관계로 재편되었다. 이를 십자형 외교라고 한다.
≪ 지 도 ≫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4.05.13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신라, 가야)-고려로 정리하는 인식을 보여준 것이다. 물론 그 후에 유득공 같은 사람이 나와서 발해를 포괄해서 고대 후기를 남북국시대로 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그 주장이 타당함은 물론이다.
안정복은 <<동사강목>>에서 한백겸의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900원
- 등록일 2004.0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신라의 통일과 발해의 건국
1 고구려와 수•당의 전쟁
(1) 고구려와 수의 전쟁
① 수의 중국 통일(589): 주변국에 수 중심의 국제 질서 강요
② 고구려의 대응: 선제공격, 남진 정책 강화로 삼국 간 전쟁 격화 → 동아시아 국제전으로 확산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300원
- 등록일 2016.10.12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신라는 일통삼함(一統三韓)을 완수하는 과정에서 고구려 왕 안승(安勝)을 위시하여 많은 고구려 유민을 받아들였으며 이들과 손잡고 당군을 축출하고 통일을 완수했다.
민족사의 완전한 통일은 신라의 불완전한 통일 이후 300년 만에 모순을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04.06.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당여(黨與)를 만들거나, 그 당여를 가리킴
낭공대사비(朗空大師碑):서울 종로구 세종로 경복궁에 있는 비.
진감선사비(眞鑑禪師碑):최치원(崔致遠:857~?)이 비문을 지은 진감선사 혜소(彗昭: 774~850)의 비. -통일신라의 불교 수용의 의미
&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8.03.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