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등접속문
문장의 접속(conjoining)과 내포(embedding)는 이른 시기부터 복문의 유형으로 탐구되어 왔다. 국어학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된지가 1세기가 되었고 여러 부분에 걸쳐 국어학의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접속과 내포의 경우,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11.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선택대상이 확대될 수 있는 ‘개방 선택’을 나타낸다. 따라서 ‘-거나’ 구문에서는 선택 명제가 확정성을 띠게 되고 ‘-든지’ 구문에서는 부정성의 특성을 띠게 된다.
참고문헌
1. 서정수. 현대 국어문법론. 서울:한양대학교 출판원, 1996
2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0.05.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종속접속문의 통사적 유사성
☞ 내포화구문과는 달리 [S1 - S2]와 같은 선후행절 연결 구조로 분석된다 → 종속접속문을 대등접속문과 함께 동일 범주로 규정해 볼 수 있는 특성 중의 하나임.
② 대등접속문과 종속접속문의 통사적 차이점(= 종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5.06.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접속문구조인데, 종속절에 '-완딪'가 나타나고 주절이 대등접속문을 형성하고 있다. 즉 '힝 죽디 아니코져 힝여든 곳 죽디 아니힝리잇가'에서 어미 '-어든'을 중심으로 선행절과 후행절을 이루고 있다.
(52) 姆姆다 請컨대 안자 奴家ㅣ 前生의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07.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접속문의 통사적 특질에 대하여」,『한글』제191호, 1986.
▶ 김영희,「등위접속문의 통사 특성」,『한글』제201/202호(합본호), 한글학회, 1988.
▶ 왕문용,「대등접속문은 국어에 과연 있는가」,『어문학보』20, 강원대학교 국어교육과, 1997.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2.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