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미가 담당하는 문법적 기능은 대단히 막중하다. 이 글은 그 중 일상언어에서 많이 쓰이는 40여개의 접속어미를 중심으로, 관계의미에 따라 나뉘어진 접속어미들의 공통적 의미와 개별적 의미를 소략하게나마 알아보았다. 특히 개별 의미를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2.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언어학>. 서울대출판부.
5. 김기혁. 1995. <국어 문법 연구>. 도서출판 박이정.
6. 김태엽. 1994ㄱ. 간소화와 문법 기능 변동, <우리말의 연구>. 우골탑.
7. 남기심. 1985. 접속어미와 부사형어미, <말> 10. 연세대 한국어학당.
8. 박창해. 19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4.02.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어미의 기능
문장 끝에 쓰이는 종결어미, 즉 文末語尾는 크게 두 가지 일을 동시에 담당한다.
하나. 문말어미는 相對敬語法을 결정한다. 상대경어법이란 말을 듣는 相對方을 언어적으로 알맞게 대접하는 체계로서 흔히 ‘해라체, 반말체, 하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1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언어적 특징
① 음운
(가) 훈민정음의 음운체계 : 훈민정음에서는 소리를 \'초성\', \'중성\', \'종성\'으로 나누고, 종성은 초성과 같은 글자를 사용했다. 초성은 현재의 자음글자이고 중성은 모음글자를 말한다. 초성글자 중 기본자는 조음하는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7.04.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접속문 구성의 변화의 경우 다양한 접속 어미의 합류 과정, ‘-거니, -거나, -거늘’과 같이 ‘선어말어미 + 접속어미’가 융합 과정을 거쳐 형성된 새로운 접속어미의 생성 등을 연구대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연구는 형태론적 연구와 통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8.07.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