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리인의 철회(제128조 후단)에 의해서 소멸한다. 또한 복대리권은 대리인의 대리권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대리권이 소멸하면 복대리권도 소멸한다.
[참고문헌]
김형배, 민법학강의 민법총칙편 (신조사 2006)
곽윤직, 민법총칙 (박영사 2004)
김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6.07.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책임의 배제
우리 민법은 일정한 경우에 무권대리인의 책임을 배제하고 있다. 먼저, 상대방이 대리권 없음을 알았거나 알 수 있었을 때에는 무권대리인의 책임이 배제된다(제135조 제2항). \'알 수 있었을 때\'의 의미에 대해 통설은 과실로 알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10.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민법 제117조)
(5)유언행위(민법 제1061조)
(6)특별법상의 행위
4. 동의와 허락의 취소 또는 제한
(1)동의(제5조)와 허락(제6조)의 취소
(2)영업허락(제8조)의 취소와 제한
III. 법정대리인의 지위와 권한
1. 법정대리인이 되는 자
2. 법정대리인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1.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리인을 기준으로 결정하는데 특정한 법률행위를 위임한 경우에 대리인이 지시에 1. 서론(민법의 기본개념)
- 민법의 의의
- 근대 민법의 원칙
- 민법의 적용 범위
- 권리의 경합과 충돌
- 권리의 행사
2. 법률행위
-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4.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대리인의 동의 없이 미성년자가 단독으로 할 수 있는 법률행위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설명하시오.
3. 민법상 제한능력자의 상대방을 보호하기 위한 제도로서 인정되는 것들을 설명하시오.
4. 법인의 불법행위책임이 인정되기 위한 요건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25.02.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