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13건

아악서 3. 왕립음악기관의 활동 범위 제 3절 고려의 향악기와 향악 1. 고려시대의 향악기 2. 고려시대의 향악 제 4절 고려의 당악과 당악기 1. 고려의 당악과 당악정재 2. 고려의 당악기와 송의 교방악사 제 5절 대성아악의 등장과 그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7.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1978 송방송, 『한국음악통사』, 일조각, 1984 이혜구 역주, 『신역악학궤범』, 국립국악원, 2000 1. 향악기 2. 당악기 3. 대성아악기 4. 고려전후기의 변화 5. 고려시대 향,당,아악기와 조선시대 악학궤범의 향,당,아악기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5.09.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아악보에 수록된 “아악십이궁칠성용이십팔성(雅樂十二宮 七聲用二十八聲)”과 “십이궁칠성용십육성(十二宮七聲用十六聲)” 선별적으로 수용하였다. 그 결과 제례악은 대성악보의 16곡 중 궁조로 된 12곡을 취하고, 이것을 다시 12조로 이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5.11.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대성아악(大晟雅樂)이 들어와 아악은 조선시대에 이르러 더욱 정비되어 종묘(宗廟)문묘(文廟)의 제례악(祭禮樂)으로 오늘날까지 전하여지고 있다. 또 당악은 통일신라를 거쳐 일본으로 건너가 관현(管絃)무악(舞樂)을 낳게 하였다. 당 이후 동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4.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대성아악> 에서 비롯된다. 그 뒤 조선 세종때에 박연 등을 중심으로 한 여러 신하가 <주례> <통전> <율려신서> 등 중국의 옛 전적을 참고하여 아악의 정비 작업을 벌인 끝에 8음의 구비, 아악보 찬정, 새로운 아악의 제정 등 옛 주
  • 페이지 3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6.22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