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992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지식산업사, 1992
조윤제, 조선시가사강, 을유문화사, 1958 1.서론
2.어구해석
3.작자와 제작경위
4.내용
5.형식
6.장르귀속 문제
7.민속학적 고찰
8.문학사적 의의
9.결론
10.원문 및 현대역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4.11.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부에 대한 논란만 있을 뿐이다. 아무래도 예종이 썼다는 명확한 기록이 있고 뚜렷한 배경설화가 기록되어 전해지는 것으로 보아, 예종이 팔관회를 보고 두 장수인 신숭겸과 김락의 행동에 감복하여 쓴 향가로 결론지을 수 있겠다.
※ 참고문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1.01.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 충담사(忠談師)
2-12. 천수대비가(千手大悲歌) - 희명
2-13. 우적가(遇賊歌) - 영재(永才)
2-14. 처용가 - 처용(處容)
2-15.보현십원가(普賢十願歌) -고려 균여
2-16. 도이장가(悼二將歌) - 예종(睿宗)
■ 맺음말
■ 참고문헌
■ 참고 사이트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3.08.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도이장가에 대하여」,한민족어문학, 1982
이석우, <羅末麗初의 詩文學 硏究>, 語文論叢 권12, 1996, 淸州大學校
정병헌, 「<悼二將歌>의 製作 經緯와 文學史的 意義」, 한국고전시가작품론1, 집문당, 1992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지식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4.07.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도이장가(悼二將歌)」, 정서의 「정과정((鄭瓜亭)」을 고려에 잔존하는 향가의 모습으로 보고 있다. 「보현시원가」는 고려가 통일을 이룬 후에도 신라 말에 지방 호족과 관련하여 일어났던 선문구산이 계속 민심을 장악하고 있자, 교리를 펴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4.12.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