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학이천성림박진우 등 공저,『현대의 기억 속에서 민족을 상상하다』, 세종출판사, 2006. .동아시아의 국조(國祖) 신화(神話):단군, 황제, 아마테라스
(1)단군(檀君)
(2)아마테라스 오미카미(天照大神)
(3)황제(黃帝)
참고할 만한 책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10.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신화의 역사적 이해.\" 국제한인문학연구 -.13 (2014): 171-202.
김명옥. (2020). 고조선 건국신화와 난생신화의 연관성 연구. 문화와융합, 42(12), 119-146. 목차
서론
본론
(1) 한국 신화의 특징
1.1 고조선 단군 신화
1.1.1 토템신앙
1.1.2 산악신앙
1.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3,700원
- 등록일 2023.12.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동아시아 건국 신화의 역사와 논리』. 조현설. 서울:문학과지성사. 2003.
『맨얼굴의 중국사』. 백양(栢楊) 저. 김영수 역. 서울:창해. 2005.
『사회과 교육과정:별책7』. 서울:대한교과서. 1998.
『역사로 보는 중국문화』. 김용범. 서울:보성(寶盛).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8.03.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신화로서 무속제전에서 형성됨
①근간구조는 天父와 地母의 결합으로써 시조가 탄생된다는 國祖神話와 동일
②단군, 주몽, 혁거세 등의 국조신화는 국가 형성 이전에 이미 부족들 사이에서 전승되던 무속신화가 국가가 형성된 후 국가의 조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4.07.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단군신화가 전승되고, 황해도 九月山의 三聖祠에서 단군에 대한 제사가 행해졌던 흔적을 찾아 볼 수 있고 , 箕子나 衛滿에관해서도 숙지하고 있었던 사실을 문헌을 통해 엿볼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은 민간 신앙의 형태로 이어져 왔을 뿐이며,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6,000원
- 등록일 2024.03.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