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학이천성림박진우 등 공저,『현대의 기억 속에서 민족을 상상하다』, 세종출판사, 2006. .동아시아의 국조(國祖) 신화(神話):단군, 황제, 아마테라스
(1)단군(檀君)
(2)아마테라스 오미카미(天照大神)
(3)황제(黃帝)
참고할 만한 책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10.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동아시아 건국 신화의 역사와 논리』. 조현설. 서울:문학과지성사. 2003.
『맨얼굴의 중국사』. 백양(栢楊) 저. 김영수 역. 서울:창해. 2005.
『사회과 교육과정:별책7』. 서울:대한교과서. 1998.
『역사로 보는 중국문화』. 김용범. 서울:보성(寶盛).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8.03.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지모신에 해당하고 고운모(母)는 지모신적 존재가 된다.
고운은 천신지부신의 아들이기에 중국 학사와 중국 황제도 시 겨루기에서 상대자가 될 수 없었다. 국조신화와 <최고운전>의 관계양상은 환인과 천신, 환웅과 지모신, 웅녀와 고운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8.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신화
2) 기기신화와 일본의 고대왕권
3) 단군신화와 조선왕조
4) 동아시아 국가별 신화 기록 양상과 의미
2. 근대의 국가주의와 신화
1) 명치정부의 국가주의적 신화
2) 반식민지 중국과 황제신화
3) 망국과 단군신화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1.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동아시아신화와 관련용어
1. 곤륜산(昆侖山)
[중국] 산기슭부터 꼭대기까지의 높이가 1만1천리114보2자6치. 황제의 행궁이 있는 곳. 꼭대기 사방에 옥돌로 된 난간이 있고 각 방향마다 아홉개의 우물과 아홉개의 문이 있다. 황제의 궁에는 주수(
|
- 페이지 20페이지
- 가격 9,000원
- 등록일 2013.07.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