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계된 제반의 애기들은 대체로 지혜롭고 남을 도우며 성실의 상징으로 표현된다.
. 느낀점
이 책을 읽으면서 목차의 제목과 실제 내용이 맞지 않는 것이 많고, 내가 기대했던 것보다 돼지띠에 관한 것이 별로 없고 누구나가 대충은 알만한 내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6.06.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을 살리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이는 돼지가 봄의 상징인 나무를 돕는 대지의 모성애와도 연계된다. 그러므로 봄의 상징 동물인 용(龍)은 북(北)의 상징인 돼지의 도움이 없으면 제 구실은 못한다. 이는 곧 오행상 돼지의 역할은 만물을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10.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돼지를 바쳤다고 한다. 이렇게 돼지를 바치는 이유는 돼지가 다산을 하는 동물이므로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는 의미가 담겨 있다. 돼지는 양면성을 가진 동물이다. 재물과 길몽을 뜻하는 동물인 동시에 탐욕과 게으름, 지저분함 등을 상징하기
한국전통문화 소, 십이지 동물의 상징성과 관련 속담(쥐 호랑이, ] 십이지 동물의 상징성과 관련 속담(쥐, 소, 호랑이, 토끼, 용, 뱀, 말, 양, 원숭이, 닭, 개, 돼지),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7.03.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제물로서의 돼지
2-2-2 신성성을 가진 돼지
2-2-3 부계권력 강화의 상징인 돼지
2-2-4 신에게서 인간으로 - 고사상에 오르게 된 돼지
2-3 민간 신앙 속의 돼지
2-3-1 풍속 속의 돼지 - 상해일(上亥日)
2-3-2 복을 가져다 주는 돼지
2-3-3 천박하고 지저분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12.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돼지를 신성한 제물로 생각했음을 알 수 있다. 현재도 당제와 별신굿 등 마을제의 때나 굿을 할 때, 10월 상달의 고사 때 통돼지나 돼지머리가 중요한 제물인 것은 이러한 전통 때문이다. 김종대, 『우리문화의 상징세계』, 다른세상, 2001년, pp.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12.12.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