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뜻을 어긋날 뿐만 아니라 스스로 의가의 저작에 많이 부합되지 않으니 오히려 후대 사람의 경청하는 사람을 바랄 뿐이다.
存而不問, 又誰曰不然。
존재하나 묻질 않으니 또한 누가 그렇지 않다고 말하겠는가? 운기정오
오행존의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7.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목을 침범했다고 말함이다.
雖性命之重無可如何,是論眼目乎哉
비록 성명의 중요함이 무엇이라 할 수 없으나, 오히려 눈을 말함은 더 중요하다.
所以治病必求其本,良有以也。
그래서 병을 치료함은 반드시 그 근본을 추구해야 좋은 이유가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7.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yao)
삼초는 위로 끝을 하고 아래까지 극에 이르러 포함하지 않음이 없고 형체가 있고 이름이 있으며, 주머니와 같고 풀무와 같아서 배의 복피를 제외하고 다시 다른 물건이 없는데 고립된 6부란 것으 무엇인가?
且自家又云腸胃諸物,以其皆有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7.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목에 잉어 담과 두뇌를 점안하면 눈의 건조한 동통이 곧 밝아진다.(본초)
(굼벵이 제; -총20획; qi)
(굼벵이, 매미의 유충 조; -총17획; cao)
:
제조
主目中淫膚 靑 白膜, 又去障, 療靑盲, 取汁滴目中, 又焙乾作末服.
제조는 눈 속의 튼 피부와 청예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8.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및 원본 문제
Ⅲ. 국어사적 특징
3. 1 글자 만드는 원리 및 음가
3. 1. 1 초성 글자
3. 1. 2 초성 글자 읽는 방법
3. 1. 3 중성
3. 1. 4 중성 글자 읽는 방법
3. 1. 5 종성
3. 2 글자 운용법
3. 2. 1 연서법(連書法, 니쓰기, 이어쓰기)
3. 2. 2 병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11.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