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묵자 그 생애사상과 묵가, 명문당, 2002.
2. 최승호 외 지음, 동양철학의 이해, 소강, 2002. A. 묵적(墨翟) (B.C 470~390)
1. 개관
2. 겸애(兼愛)와 의(義)는 인류의 최고 도덕이념이다.
3. 절약과 검소는 인류의 미덕이다.
4. 공리주의 도덕원칙
5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05.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 말했다.
사실상 묵자의 애인(愛人), 이인(利人)사상 속에는 인류를 하나의 유기체로 보고 개체로서의 자아를 그 유기체의 한 부분으로 보는 전체아 관념이 바탕에 깔려 있다.
|
- 페이지 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묵자는 당시 사회하층계급의 대표로서 노예에 대한 압박과 차별을 질책했다. 그가 주장한 ‘애인(愛人)’의 도덕관념은 막 노예제의 속박에서 해방된 소생산자 계층들의 독립적인 사회 지위를 지니고자 하는 강렬한 욕구를 반영했다. 주백곤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900원
- 등록일 2013.10.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서로 이롭게 해야 한다는 게 겸애(兼愛)이다. 따라서 兼愛가 실현하는 사회는 사람마다 하는 일이 다르고 성격이나 능력도 서로 다르지만 모든 조건이나 생활여건은 평등하다.
兼愛의 사회에서는 자기를 위하고자 한다면 먼저 남의 부모부터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3.08.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겸애설의 추상성이 있다. 유가의 교육과 명분, 정치적인 도리가 구체적이고 명확한 데 비해 묵자와 양주의 사상은 모호하고 추상적이다. 맹자는 정치적 원리로서의 하늘을 설명하지 않았던 공자보다 여기서는 앞서고 있다. 맹자는 주나라 제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20.11.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