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tarch배지의 균과 마찬가지로 균마다 털이 더 자라난 걸 관찰 할 수 있었다. 제일 큰 균의 지름은 0.4mm정도 되어 보였다. 배양액의 색깔은 투명한 색을 유지하고 있었다. (실험결과)
<월요일 관찰(72시간경과)>
<화요일 관찰(96시간경과)>
<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600원
- 등록일 2013.02.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미생물 수가 너무 많으면 배지에서 특정 성분이 모두 분해되어 밀도 조사가 어려울 수 있다.
토양시료에 따라서 콜로니가 천천히 형성될 수도 있으므로 상태에 따라 1∼2일 더 배양해 도 된다.
5. 참고 문헌
(1) 미생물학실험. 고영진 외 19인 저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04.09.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미생물들은 고분자 물질을 바로 흡수할 수 없기 때문에 당을 분해하는 Amylase, protein을 분해하는 caseinase, gelatinase 등을 외부로 분비해서 고분자 물질을 분해하여 흡수한다. 이 실험에서 Bacillus cereus와 Escherichia coli를 starch, casein, gelatin 배지에서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4.1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실험자의 실험 미숙을 알 수 있다. 턴테이블을 사용하여 골고루 펴려고 했지만, 실험자의 실험기구 미숙으로 인해 colony가 배지 둘레에만 펴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번 실험은 앞으로 미생물 실험에서 기초가 되는 실험이므로, 실험에 사용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12.06.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배지에서 용혈성에 방해를 줄 수 있는 용혈인자가 없고, Thermophilic spore에 의한 오염이 없다는 특성이 있다.
배지는 미생물을 증식시키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로서, 이번 실험에서 미생물 실험에 기본이 되는 배지를 직접 만들며 구성 재료 및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4.01.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