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생
4. 권리의 박탈 : 법률에 특히 규정된 경우에만 인정(친권상실 선고)
5. 권리남용금지는 신의칙과 달리 법적 특별관계가 없는 자 사이에서도 성립 민법상 권리남용금지 원칙 검토 (법학)
Ⅰ. 沿 革
Ⅱ. 成立要件
Ⅲ. 效 果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5.05.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원칙의 소극적 입장은 바람직하다고 본다.
(3)권리남용금지의 원칙
1.의의
이 원칙은 동조인 제2조 제1항의 신의성실의 원칙에서 파생된 원칙으로 신의성실의 원칙으로부터 그에 어긋나는 권리행사는 허용되지 않는다는 일반적인 원칙에서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02.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원칙 >>
1. 서설
2. 연혁과 입법례
3. 원칙의 적용범위
4. 우리 민법상의 반영
5. 파생적 원칙
6. 권리남용금지의 원칙과의 관계
제3장 << 권리남용금지의 원칙 >>
1. 의의
2. 요건
3. 효과
4. 구체적 기준
5. 판례의 태도
제4
|
- 페이지 168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4.12.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민법상의 권리남용금지의 원칙은 도덕적 가치를 법적 의무화한 것이고, 2) 교통질서라든가 경제 질서와 같이 본래 도덕과는 무관한 것이 법적 의무로 됨으로써 도덕적 의무로 전환되는 경우가 있다.
→라드브루흐 ‘법의 도덕적 세계로의 귀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9,660원
- 등록일 2014.05.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원칙은 민법만의 원칙이 아니라 전법률적인 최고원리로서 인정되고 있다.
170. 현대민법의 세 가지 수정원리 이외에 사정변경의 원칙, 거래안전의 원칙, 무과실책임의 원칙 등이 포함되어 있다.
171. 우리 민법상 무과실책임원칙이 반영된 규정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5.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