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대를 할 수 있고, 이 때 전차인은 직접 임대인에게 의무를 부담하지 않는다. 또한 임대인과 전대인 사이의 합의로 임대차가 종료하면, 소부분의 전대차는 그 기초를 잃고 소멸한다(제631조와 비교). 1. 무단양도 전대의 금지
2. 임대인의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5.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민법상 임차인은 임대인 동의가 없이 권리를 양도 또는 임차물을 전대할 수 없으며 임차인이 이를 위반할 대 임대인은 일방적으로 계약을 해지할 수 있다. 이는 임대차계약이란 당사자의 개인적 신뢰를 기초로 하기에 임대인의 인적 신뢰 및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23.12.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임대차보호법의 장·단점
1. 장점
2. 단점
Ⅳ 민법상 임대차보호법
1. 임대차
1) 의의.
2) 법적 성질
3) 사회적 기능
4) 성립요건
5) 존속기간
6) 효과
7) 임차권의 대항력
8) 보증금
9) 임대차의 종료
10) 임차권의 양도
11) 임차물의 전대
1
|
- 페이지 3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3.10.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임대차에 있어서는 사용대차와는 달리 임차인의 사망으로 인하여 종료한다는 뜻의 규정을 두고 있지 않다.(제614조 참조) 이는 임차인이 사망한 때에는 그 임차권이 당연히 상속인에게 상속된다고 보기 때문이다.
②그런데, 주택임대차보호법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3.10.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임대차, 전대차, 임차권 양도 등의 당사자와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며, 우리 나라에 있어 권리금의 수수는 임대인과 임차인 사이에 있어서는 적어도 계약 표면상으로는 좀처럼 찾아보기 힘들고, 주로 전대차나 임차권의 양도 시에 발생하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9.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