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재자 재산관리인 을의 법률행위에 효과는 유효한 것이 되고 상속인 정은 피상속인의 임야 A를 상속받을 수 없으며 그 주장은 무효가 된다.
CASE 1 목차
Ⅰ. 문제 제기
1. 부재자를 위한 민법상의 제도
2. 사망(간주)시기 이후에 법률행위에 대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4.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재인의 행위는 일단 유효한 것으로 다루어진다(아래의 판례 참조).
[ 참고판례 ]
대판 91.11.26. 91다11810 재산관리인은 그 부재자의 사망을 확인했다고 하더라도 선임결정이 취소되지 아니하는 한 계속하여 권한을 행사할 수 있다 할 것이므로 재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9.04.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바뀐다.
부재자가 재산의 관리 및 처분의 권한을 그 어머니인 '을'에 위임하였다 가정하더라도 '을'이 부재자의 실종 후 법원에 신청하여 동 부재자의 재산관리인으로 선임된 경우에는 부재자의 생사가 분명하지 아니하여 민법 제23조의 규정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1.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부재자에 대하여 청구하지 못한다.
5. 의무
재산관리인은 ㉠ 선관주의의무 ㉡ 재산목록작성의무 ㉢ 법원의 처분을 수행할 의무 ㉣ 담보제공의무를 지닌다. 민법상 부재자의 재산관리 (민법)
1. 판례로 본 부재자의 의의
2. 부재자가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5.05.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민법강의Ⅰ”
전장헌 저, “민법연습”
노재호 저, “사례&단문 민법교안”
송영곤 저, “민법강의”
곽윤진 저, “민법총칙” Ⅰ. 서 론
Ⅱ. 본 론
1. 민법에서의 권리능력의 형성시기
1) 출생의 시기
2) 출생의 신고 및 증명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8.04.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