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리데기 vs. 당금애기 비교
첫째, 여성이 주인공이다. 두 무가의 주인공은 여성이 주체가 된다.
둘째, 귀 가문의 딸이다. 지역 이본마다 다소 차이가 있긴 하지만, 바리데기는 왕의 딸로 바리공주라고도 불리고 당금애기 역시 벼슬이 높고 귀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06.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성과 속』, 이동하 역, 학민사, 1995 Ⅰ. 서언
Ⅱ. 무가란 무엇인가?
Ⅲ. <제석본풀이> 줄거리
Ⅳ. <제석본풀이> 해석갈래
Ⅴ. 발표조 견해
Ⅵ. 견해에 따른 국조신화와의 비교
Ⅶ. 결언 ; 현대적 수용의 의미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0.05.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대 비평
▶도산십이곡 발
▶파한집에서
판소리
▶흥보가
▶수궁가
판소리계 소설
▶심청전
무가
▶바리데기무가
▶당금애기무가
민속극
가면극
▶봉산탈춤
▶양주 별산대 놀이
인형극
▶꼭두각시 놀음
|
- 페이지 88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4.11.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아기씨의 아들 삼형제, 즉 남신으로 나타난다는 것도 변별되는 점이라 할 수 있다.
<바리데기> / <초공본풀이>
무조신의 신격: 바리공주 생명수로 부모 살림, 초공본풀이(특징: 아들 세 명이 무속의례를 통해 엄마를 살림)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23.08.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바리데기>는 <바리공주>라고도 불리는 것으로, <당금애기>와 더불어 한국의 대표적인 무속신화로 꼽힌다. 주인공은 \'베리데기\'나 \'비리데기\'로 불리기도 하는데, \'바리데기\'라는 명칭이 보편화돼 있다. 그녀는 죽은 사람을 저승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3.12.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