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6건

반상(飯床) 2. 죽상 3. 장국상(면상:麪床) 4. 주안상 5. 교자상 6. 다과상 [제 6장] 한국의 절식(節食)과 시식(時食) 1. 명절음식 (1) 정월 초하루 (2) 입춘절식(立春節食) (3) 상원절식 (4) 중화절식 (5) 삼짇날 (6) 한식 (7) 등석절식 (8) 단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1.1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반상(飯床)차림 참고문헌 및 사이트 들어가는 말... 1.식생활문화의 이론적 배경 ▶식생활문화의 개념 ▶식생활의 목적과 역할 2.한국의 자연적 조건 3.한국음식의 특징 4.한국음식문화의 변천사 5.지역별에 따른 식생활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3.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반상(飯床): 밥과 국·김치를 기본으로 하는 밥상으로 쟁첩에 담는 찬품의 가 짓수에 따라 3첩·5첩·7첩·9첩 반상으로 나뉜다. 12첩반상은 궁중에서 수라상의 경우에만 차리고, 민가에서는 9첩까지로 제한하였다. 기본으로 놓는 것은 밥·국·김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12.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반상(飯床)차림 반상은 밥과 반찬을 주로 하는 일상식 상차림으로 밥상·진지상이라 하고 임금에게는 수랏상이라고 불렀다. 종류에는 3첩·5첩·7첩·9첩·12첩 등이 있는데 여기에서 첩이란 밥·국·김치·조치류(찌개)·간장·고추장·초고추장을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6.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전통적인 반상(飯床)차림의 기 본 구조를 확립함. 1. 조선시대 식생활 ? 2. 조선시대 상차림 - 반상종류 ? - 의례상차림 3. 조선시대 식기류 ? - 식사용 식기 - 조리용 식기 - 저장-발효용 식기? 4. 조선시대 식공간 특징
  • 페이지 30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20.10.20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