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때가 많다.
7.식약동원(食藥同源)
불가에서는 음식이 곧 약이고 의술이다. 선재 스님은 “소화가 안 될 때는 양배추를 먹고, 폐가 안 좋을 때는 참기름에 잰 은행을 먹으며, 기가 잘 통하지 않는다 싶을 때는 송차(松茶)를 마신다”고 했다. 경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10.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발우공양
발우준비, 밥 반찬 청수 준비
13 : 00 - 13 : 45
정신건강프로그램
컵 등 만들기 : 컵, 연잎, 풀
교리놀이(6바라밀) : 풍선, 책, 연필, 등
종이접기 : 색종이, 풀, 가위 등
야생화 관찰 : 스케치북, 연필, 색연필
물놀이 : 갈아입을 옷, 수건,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공양(발우)
06:30 - 07:30
운력(마당쓸기, 법당청소하기), 세면
07:30 - 08:30
선체조
다도
08:30 - 09:30
푸른숲 맑은물과의 이야기(자유시간)
09:30 - 10:30
스님과의 대화
10:30 - 11:30
참선
11:30 - 12:30
점심공양(발우)
12:30-13:30
산타기
산사와의 대화
13:30 - 14:30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06.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고 있었기에 발우공양을 통해 음식을 남기지 않으려 했던 것이다.
이는 비단 불교 수행자들에게만 국한되는 이야기는 아니다. 우리들의 조상들 역시 음식을 남기는 것을 큰 흉으로 생각했고 혹시 남는 음식은 집에서 기르는 개에게 먹여서 남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7.10.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사찰음식,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s...
발우공양이다. ‘때 아닌 때는 먹지 말라’고 하여 정확하게 시간을 지켜 공양한다. 아침은 5~6시, 점신은 11~12시, 저년은 5~6시에 먹으며 공양 시간이 지나면 공양을 하지 못한다.
발우공양을 통해 우리는 절약의 정신과 평등의 정신과 청정의
사찰음식 브랜드, 마케팅 브랜드마케팅, 사찰음식,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swot,stp,4p,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12.06.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