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분류
Ⅲ. 네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해설한 도교
1. 교학적 측면
2. 방술적 측면
3. 의술적 측면
4. 윤리적 측면
Ⅳ. 도교의 종파
Ⅴ. 도교의 신들
Ⅵ. 비밀결사
1. 하얀 연근 : 백련교
2. 붉은 연꽃 : 홍방
3. 푸른 연잎 : 청방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08.05.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알고 있는 그는 불교를 지배체제의 통치가능한 범위 내로 흡수하는 한편, 조직적인 민중기반을 갖고 있는 백련교, 백운종, 명존교 등을 모두 탄압하였다. 종교적 힘을 기반으로 했던 그가 도리어 종교탄압에 앞장서는 아이러니였다.
명은 다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07.09.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백련교와 백운교
5대 10국 이후에는 불교가 몰락하였다고 볼 수 있지만, 한편으로는 불교가 민중과 가장 긴밀하게 밀착되었던 시기라고도 볼 수 있다. 선불교는 번쇄하고 비현실적인 논리에 문제를 제기하고 출발하였으나 시간이 흐름에 따라
|
- 페이지 2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0.01.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때가 되면 대사를 도모할 수 있다고 했다……
天理敎 叛亂은 嘉慶 白蓮敎亂과 다른 점이 하나 있다. 嘉慶 白蓮敎亂처럼 淸朝의 白蓮敎亂에 경우 대부분 상징적이고 표면에 드러나지 않는 신비스런 인물을 내세우는 것이 일반적이었던 것에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4.04.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백련교와 미륵교 신자들이 중심이 되었으며, 가난에 쫓겨 탁발승이 되었던 주원장도 홍건적의 난에 참여하였다.
홍건적의 난
백련교와
미륵불을 자처하던 홍건적의 수령 한산동은 관군에게 붙잡혔고, 부하 유복통이 한산동의 아들 한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500원
- 등록일 2014.06.25
- 파일종류 워드(doc)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