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한 무관심이 병자호란을 초래한 것이다. 광해군은 결과적으로는 비록 실패한 군주이지만 국제적 정세를 읽는 눈은 분명 뛰어났다. 조선의 사대주의적 외교정책이 실패한 첫 번째 사건이 바로 인조반정과 병자호란이라 생각한다.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6.10.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병자호란의 결과 청나라는 6,000명 이하의 병력 손실만 입었을 뿐이며 조선은 한성 주변이 쑥대밭이 됨과 동시에 전사자 30,000명 이상, 포로로 끌려간 노예가 600,000명이나 되었다. 그리고 조선은 청나라의 제후국이 됨으로써 국가 정체성이 흔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22.03.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병자호란을 통해 청나라는 고작 6,000명 이하의 병력 손해를 봤지만 조선군은 30,000명 이상의 전사자가 생겼고 포로로 끌려간 노예의 수만 60여 만 명에 달했다. 당시 인구가 3,800,000명이던 조선의 인구는 3,300,000명으로 감소하였으며 명나라는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21.07.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인조반정 하지만 인조반정 세력은 그 명분론에 집착할 수 밖에 없었던 구조적 한계로 인해 그 변화를 능동적으로 막을수 없었던 것. 광해군의 비극은 정치권을 조정하지 못하고 내정에 실패한데서 비롯됐다. 하지만 인조반정세력 역시 광해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병자호란과 동아시아』, 푸른역사
2. 김종원, 1995 『한국사』29, 국사편찬위원회
3. , 1999 『근세동아시아관계사연구』
4. 국방군사연구소, 1996 『한민족전쟁통사』
5. 오수창, 2006 「오해 속 병자호란, 시대적 한계 앞의 인조」 『내일을 여는 역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16.0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