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사편찬위원회, 2003
지두환, <한국사상사>, 역사문화, 1999
<한국 불교 인물 사상사>, 불교신문사편, 민족사, 1990
민내수외 33인, <한국사상>, 우석, 2004
황원갑, <고승과 명찰>, 책이있는마을, 2000 1. 지눌의 생애
2. 지눌의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7.12.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지눌, 『보조국사 전서』, 김달진 역주(서울 : 고려원, 1987).
다카쿠스 준지로, 『불교철학의 정수』, 정승석 옮김(서울 : 대원정사, 1990).
네이버 참조(www.naver.com) 1. 들어가는 말
2. 지눌의 돈오점수
1) 돈오점수
2) 대승
3) 결과
3.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12.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보조국사 지눌은 800여 년 전 고려에 살았다. 그의 삶은 투철한 현실인식과 그를 바로잡으려는 쉼없는 실천으로 일관되었다. 현실의 문제를 꿰뚫어 볼 수 있는 “호랑이 눈”의 날카로움이 있는가 하면, 평생을 걸고 그러한 문제를 해결하려는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13.05.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보조국사 지눌의 삶
정혜결사의 정신
3. 송광사의 배치와 건축
송광사의 창건과 배치
송광사의 건축
§운주사
1. 운주사를 누가 무엇 때문에 세웠을까?
2. 운주사의 배치
3. 운주사의 석탑
4. 운주사의 불상
<석탑의 세부명칭>
<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2.09.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지눌에게로 이어졌습니다. 이들은 불교 최대의 주제인 선(禪)과 교(敎)의 회통을 모색한 최고의 거장들입니다. 특히, 보조 국사(普照國師) 지눌(知訥)은 깨침〔敎宗〕과 닦음〔禪宗〕, 즉 오수(悟修)가 분리될 수 없으며, 정(定, 선종)과 혜(慧,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06.03.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