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의 자본주의적 체제와 대립하는 체제였음은 분명하지만 \'국가사회주의체제\'라고도 할 수 없는 것이었다. 이같은 이유로 저자는 전쟁 이전까지 북조선을 \'당=국가체제\'가 위에 올라서 있는 \'인민민주주의국가\'라고 규정하고 있다.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9.0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분국 창립이후 북조선의 공산주의자는 서울중앙 지지자와 북조선 지지자 사이의 갈등이 심하고, 각지방조직의 독자성도 강했기 때문에 당내 통제는 매우 곤란했다. 전체적으로 인민위원회나 대중단체 내 좌익세력은 강했으나, 분국의 내적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9.0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당의 지침대로 움직이게 하는가 하는 의문이 있었는데, 각 단체의 책임자가 당조위원장을 겸하여 당조(fraction)을 결성하여 당의 지도 아래 활동한다는 것이었다.
그리고 당=국가체제의 의미가 무엇인가 궁금했는데 당이 모든 조직의 인사권을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9.0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공산세력은 소멸하고, 여운형, 김구, 김규식 등 통일지향 세력은 무기력할 수 밖에 없었던 것으로 보인다.
3. 성과와 한계
o 서동만의 북조선사회주의체제 성립사는 북한지역에서의 김일성을 대표로하는 공산당 세력이 어떻게 권력을 장악하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9.0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장하도록 하였다. 김일성의 노선은 아무도 거부할 수 없는 북조선 경제의 ‘법칙’이 되어 이후 경제발전 과정을 지배하게 되었다. 서동만, 『북조선사회주의체제성립사 1945~1961』, 선인, 2005,pp.826~827.
이런 식으로 같은 사건이 다른 주제를 만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9.0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