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1장 북한의 언어관과 문법 연구
1. 북한의 언어관과 문법서
2. 북한 문법 연구의 방법과 대상
제 2 장 단어
2. 품사론
제 3 장 문장
2. 문장유형과 문장의 확대 구성
제 4 장 문법범주
1. 북한 문법의 형태론과 토
3. 문장종결 표현
|
- 페이지 23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9.10.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결합 가능
ex)갓 스물, 갓 태어나다
결합범주가 명사성을 띄고 있어야 함
ex)새 모자, 새 만들다(x)
의존 형태소
자립 형태소 1. 말본의 얼거리
2. 말본범주
3. 말본의 형성배경
4. 북한의 말과 글
5. 형태소와 낱말
6. 낱말만들기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8.12.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통일한국을 준비하는 크나 큰 걸림돌로써 작용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언어 전반에서의 북한언어관-
1) 한자 문제
a. 한자는 다른 나라 글자이고 중국 사람들도 배우기 힘들고 쓰기 불편하여 버리고자 하는데 우리만 쓸 필요는 없다
b. 새로 나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3.12.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psychology 3. cognitive psychology
4. analytic 4. comprehensive
5. corpus-catalog, inductive 5. logical, deductive
6. particular grammar 6. universal grammar
7. phoneme→sentence 7. sentence→phoneme
2. 문법관언어관 비교
-=-=구조 문법=-=-
① 언어 습득은 자극-반응(Stimulus-Response)에 의한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8.06.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언어(북한어, 북한말, 문화어)의 정책변화
Ⅴ. 북한언어(북한어, 북한말, 문화어)의 문법과 문체
1. 문법
2. 문체
Ⅵ. 북한언어(북한어, 북한말, 문화어)의 어휘
1. 방언에서 유래되는 차이이다
2. 외래어와 관련된 차이이다
3. 실생활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10.04.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