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의 김치문화에 대한 설문지
A. 인적사항
1. 성별 : 여( 34 ) 남( 27 )
2. 연령 : 10대( ) 20대( 16 ) 30대( 30 ) 40대( 6 ) 50대( 7 ) 60대( 1 )
3. 출신지 :
① 평양( 6 ) ② 개성( 1 ) ③ 평안남도( 2 )
④ 평안북도( ) ⑤ 함경남도( 10 ) ⑥ 함경북도( 36 )
⑦ 황해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900원
- 등록일 2008.09.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의 음식문화
북한에서 옛날부터 해먹던 평소에 음식은 송편떡, 설기, 찰떡, 증편(쉰떡), 떡국대, 만두, 밀가루빵, 꽈배기 주로 이런 음식이다.
○ 반찬 - 배추김치, 무채김치, 꽉뚜기, 갓나물김치, 연채김치 보통(겨울반찬)
○ 4.15일 김일성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4.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음식
1.북한 음식의 특징
2. 지역별 대표 음식
(1) 평양
(2)양강도, 자강도
(3)함경도
(4)평안도
(5)황해도
3. 북한의 김치
4.북한의 명절음식
5. 북한의 술
(1)주민들에게 인기있는 술의 종류들
(2) 지방의 특산주들
6. 북한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5.05.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김치는 반년식량이라는 말이 있듯이 북한주민에게 아주 중요한 것이기 때문에 정규휴가 이외에 별도 휴가를 인정해준다.
정규휴가를 다 썼는데 집안사정이 생길 경우엔 사결(사유가 있어 결근)을 쓴다. 사결, 병가로 30일이 넘으면 정규휴가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3.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북한의 특산물
○ 함흥 비날론제품, 안주 갑사, 개성 인삼, 금강산 백도라지 등
* 함흥 비날론제품은 적·청·황·재색·분홍색 등의 색상, 그리고 유아·학생·남자·여자 등 나이와 성별에 따라 달리 생산되고 있다.
* 안주 갑사도 평양색동단과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09.04.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